코로나19 사태와 디지털 금융 확산으로 각종 범죄가 창궐하면서 금융기관들의 보안, 범죄대응 관련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사진: 셔터스톡]
코로나19 사태와 디지털 금융 확산으로 각종 범죄가 창궐하면서 금융기관들의 보안, 범죄대응 관련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코로나19 사태와 디지털 금융 확산으로 각종 범죄가 창궐하면서 금융기관들의 보안과 범죄 대응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은행원들이 범죄자를 잡고,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들이 범죄 예방 홍보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 이런 역할과 요구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경영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금융소비자보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정부와 금융기관의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범죄 예방이 금융기관 본연의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법적 책임이 부여되지 않지만 금융사기가 민생과 직결된 부분인 만큼 금융기관의 자발적 역할 확대가 필요한 부문으로 주목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전 세계 126개국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코로나19가 금융 소비자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고소득 국가에서 금융소비자에게 가장 큰 위험이 금융사기에 취약하다는 점이라고 응답하는 등 금융사기 증가가 전 세계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체 범죄 건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융기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은 사이버범죄와 재산범죄는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IT기술 발달과 핀테크 기업의 지급결제 분야 진출 등으로 지급수단사기 유형이 복잡하고 지능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범죄 대응이 금융권에 주요 업무가 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사례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1년 동안 범죄대응에 총력을 기울였다. 지난해 2월 금감원은 개인신용정보를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경보를 발령했으며 3월에는 재난지원금 지급과 백신접종 등을 빙자한 보이스피싱을 경고했다. 4월에는 2020년 보이스피싱 동향을 발표하며 금융사기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같은달 금감원은 저축은행중앙회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6월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피해자 설문 분석결과를 발표했고 8월에는 금감원을 사칭한 사기문자 주의보를 울렸다. 8월 금감원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보이스피싱에 공동대응하기로 했고 보이스피싱 예방 콘텐츠 공모전도 개최했다. 

9월에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동영상을 공개했고 12월에는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모범사례 경진대회 시상식을 열었다. 금감원은 한 달에 한 번씩 금융사기 대응 활동을 공개했다.

일반 금융회사들도 마찬가지다. 신한은행은 지난해에만 9번 피싱, 금융사기 주의를 고객들에게 공지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1월부터 ‘웹툰으로 보는 보이스피싱 피해사례’를 연재하고 있다.

범죄를 막고 잡는 것도 금융회사 직원들이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서울 강동경찰서는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은 우리은행, 신한은행 직원들에게 감사장과 신고포상금을 전달했다. 같은달 서울 서부경찰서는 은행원의 신고로 보이스피싱 관련 현행범을 체포할 수 있었다. 또 1월 15일에는 세종북부경찰서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기여한 KB국민은행 직원에게 표창장을 전달했다. 전국적으로 이같은 사례가 다수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 범죄의 목적이 금품갈취인데 범죄자들이 금품을 갈취해가는 그 과정을 금융회사 직원들이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KB경영연구소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융기관들의 범죄 대응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 소비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