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 산업통상자원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 산업통상자원부]

[디지털투데이 조믿음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시킨다. 

산업부는 10일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자동차 산업이 미래차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엔진·동력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할 위기에 처했다. 

자동차연구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기업  47% (4195개사, 10만8000명)는 엔진·동력전달·내연기관 전기장치 등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 해당된다, 이 가운데 2030년이 되면 900개 기업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부품산업 생산·고용이 16년 이후 감소·정체된 상황에서 개별기업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주도의 지원책이 마련된 배경이다. 

우선 정부, 완성차사, 지원기관 등이 함께 부품기업의 전략수립, 기술개발, 자금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하는 미래차 전환 지원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존의 '사업재편 지원단’을 확대·개편해 미래차 개발·구매계획 공유, 컨설팅·금융·판로·사업화 등을 일괄 지원에 나선다.

지자체 주도로 특화분야 선정, 인프라 구축계획 등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정부는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 지역대학의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 지원 연계 등을 지원하는 것이다.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산업협'를 설립, 부품기업과 IT·서비스 등 이종 기업간 공동 R&D, 전략적 제휴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신차개발 전략에 부합하는 부품·소재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하이브리드, SUV 전기차, 고효율 승용차 등 중견3사의 신차개발 전략과 연계하여 중견3사 협력업체 특화 R&D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2·3차 협력사는 상생형 R&D 신설, 사업화 우대지원 등 인센티브를 통해 대형 부품기업과 공동 사업재편 유도할 예정이다. 

공급망 안정화을 위해서 해외 의존도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자립화를 지원한다. 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은 현재 70% 수준에서 25년 9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329억원의 자동차소재 R&D 예산을 투입한다. 뿐만 아니라 차량용 반도체 양산성능 평가 및 기업간 협력모델에 119억원, 자율주행 6대 핵심부품 국산화 및 고도화 분야에도 200억원을 지원한다. 

자동차 부품기업들의 글로벌화도 적극 지원한다. 코트라 GP 센터를 실리콘밸리와 뮌헨에 추가 설립해 7곳으로 늘리고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미국에 R&BD센터를 신설한다. 

전기·수소차 핵심부품에 대해 무역보험 한도 2배 확대 및 보험료 20% 할인 등 우대한다. 

정비업·주유소·제조 장비 등 자동차 연관 산업 생태계의 미래차 대응역량도 강화한다.  2026년까지 매년 480명의 정비인력을 교육시킨다. 주유소 내 전기·수소 충전기를 복합설치하는 하이브리드 스테이션을 2025년까지 630개소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투자비 부담을 줄이고자 설비투자와 인수합병(M&A) 소요 자금에 대한 저리융자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상세 지원방안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이 확정되면 발표한다.

또한 매출이 줄었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화회사 보증(P-CBO) 지원 한도를 늘리고 총 5000억원 규모의 미래차 펀드를 조성한다.

미래차 분야에 설비투자를 할 경우 공장증설 없이도 외투·지투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도 추진한다. 또한 후발 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사업재편 전용 R&D를 신설하고 2025년까지 고급 연구인력 3800명, 현장 인력 6200명 등 총 1만명의 미래차 인력을 양성한다.

부품산업 생태계의 디지털 전환도 지원한다. 내년까지 10인 이상 부품기업의 70%인 3천개 기업에 스마트 공장을 보급하고, 2025년까지 925억원을 들여 전장부품 성능·미래차 운행 데이터를 축적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런 내용을 아우르는 자동차 부품산업 디지털 전환지원 종합전략은 3분기 중 별도로 수립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토대로 2030년까지 1000개 자동차 부품기업의 사업재편을 지원하기로 했다. 매출 1조원 이상 부품기업을 현재 13개에서 20개로, 1천만달러 이상 수출 부품기업을 현재 156개에서 250개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