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금융인 디파이 시장 규모가 큰폭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보안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제도적인 장치가 선제적으로 마련돼야 한단 지적이 나온다. [이미지: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 증대로 탈중앙화 금융인 디파이(DeFi)의 시장 규모가 큰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개방형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가 걸림돌로 남아 있는 만큼 일각에선 보안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자본시장연구원이 발표한 자본시장포커스 '디파이 시장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는 디파이 시장이 최근 1년간 총 예치금액이 급증하는 등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파이 정보 사이트인 디파이 펄스(DeFi Pulse)에 따르면 이달 기준 전 세계 디파이 예치금액은 418억달러(한화 약 47조2173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 집계된 예치금액인 5억6000만달러(한화 약 6328억원)와 비교하면 75배 가량 상승한 수준이다. 순활동지갑 수도 지난해 8월 2만건에서 올 3월 4만2000건까지 증가했다.

최근 1년간 디파이 예치금액. [이미지: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는 향후 디파이 시장의 성장성에 대해서도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올 1월 미국 통화감독청(OCC)이 은행의 스테이블코인 사용을 전격 허용하면서 블록체인 산업에만 한정됐던 가상자산이 기존 금융권으로 반경을 넓히게 됐다는 게 주이유다. 

하지만 한계도 분명하다는 게 보고서의 주장이다. 개방형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와 보안 취약 문제 등 위험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홍지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현재 디파이는 책임을 지고 보증해주는 법적 장치 없이 블록체인 기술에만 의존해 작동되는 구조"라며 "거래가 많아질수록 블록체인 거래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탈중앙화 시스템에 따라 개방형 블록체인에선 보안과 운영 관련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문제도 있다"고 했다.

또 홍 선임연구원은 "올해에만 디파이 플랫폼 17곳에서 해킹사고가 일어났고 스마트 계약의 버그 악용 건으로 1억5400만달러의 손실이 발생했다"며 "가속화하는 시장 성장에 맞추기 위해선 현행 시장의 개선점을 파악해 선제적으로 제도 장치와 지원정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오는 2024년까지 마련될 EU의 포괄적 규제방안과 지난해 말 발의된 미국 스테이블 코인 규제법 등의 규제 방향이 향후 디파이 싲아 흐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