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산업을 3대 신산업으로 선정한 문재인 대통령.

[디지털투데이 이장혁 기자] "바이오헬스산업을 3대 신산업으로 선정, 창업과 투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 바이오 R&D 예산을 1조7000억원으로 확대하겠다. 특히 연 1조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블록버스터 신약개발을 적극 돕겠다. 바이오강국으로 거듭나는데 정부도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바이오산업 육성 의지는 확고하다. 중소·벤처기업에게 기술 개발부터 인허가, 생산, 시장 출시까지 성장 전 주기에 걸쳐 정부가 지원한다.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와 시설투자 비용에 대해서 세제 혜택까지 늘릴 정도니 말 다했다.​

코스닥 문호도 대폭 넓혔다. 기술성장기업 상장특례제도(기술특례상장)를 통해서다.​

기술특례상장은 당장 이익을 내지 못하더라도 기술성과 성장성을 평가해 상장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다. 한국거래소가 인증한 전문평가기관 두 곳에서 A등급 &BBB 등급 이상을 받으면 된다. 2005년 시작해 2020년 10월까지 100개 기업이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다. 이중 바이오기업은 76개에 달했다.​

기술력은 있지만 연구개발, 시설투자 등 자금이 절실했던 바이오기업들이 수혜를 입었다. 2015년 이전에는 연간 1~4개사에 불과했지만 2015년 10개, 2016년 9개, 2017년 5개, 2018년 17개, 2019년 11개사가 코스닥에 이름을 올렸다. 2015년 규제 완화로 상장 기회가 더 확대된 결과다.​​

고바이오랩은 지난달 기술특례 상장으로 코스닥 입성에 성공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기업으로 상장 이후 주가가 급등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콜마 기술이전 계약이 주가를 쏘아 올렸다. 1만5000원 공모가 대비 세 배에 가까운 4만원에 육박하고 있다.​

기술특례로 10일 상장한 엔젠바이오도 공모가 1만4000원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2만9000원을 기록했다.​

ⓒShutterstock

코스닥 상장의 발판으로 코넥스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코넥스시장은 자기자본 5억원, 매출 10억원, 순이익 3억원 이상 등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만 충족하면 상장이 가능하다. 코스닥시장은 자기자본 10억원, 기준시가총액 90억원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를 만족시켜야 하고 매출도 50억원이 넘어야 한다. 코스닥시장 진입 요건이 더 까다로워 일단 코넥스로 상장한 후 몸집을 키워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하는 방식이다.​

코넥스 대장주인 지놈앤컴퍼니는 코스닥으로 자리를 옮길 예정이다. 2018년 코넥스에 입성한 지놈앤컴퍼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개발사업으로 성장, 기술특례 상장평가를 통과하며 3년 만에 코스닥 이전 상장 이라는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매출 45억원에 불과한 기업이 2600억원이 넘는 돈을 고위험 자산에 장기간 투자한 곳도 있다.

기술특례 1호 상장기업으로 유명세를 치뤘던 헬릭스미스다.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낮은 매출을 만회하려 고위험 자산에 투자를 했다는 변명도 궁색하다. 상장사가 투자자와 기본적인 신뢰관계가 깨지면 회사의 미래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는 상장을 통해 황금 알을 낳는 거위를 손에 쥐었다. 탐욕 때문이었을까. 기술개발에 쓸 자금을 빠른 결실을 위해 고위험 투자를 한 것이다.  거위의 배를 가른 것과 다를 바 없다.​

금융감독원이 헬릭스미스에 제동을 걸었다. 관리 종목 등록을 피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중이었다. 호재로 넘처난 홍보 자료 뿌리기를 자제하라고 주의 조치했다.

"허위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자본시장법이 금지하는 부정 거래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여당 국회의원까지 헬릭스미스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나섰다. 이용우 국회 정무위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강하게 질책했다.​

"상장 요건엔 미흡하지만 기술평가로 상장한 회사는 더 투명하게 경영 정보가 공개되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투자자의 신뢰를 잃게 된다.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기술특례 상장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거래소도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걸까. 좀 더 정확한 평가를 위해 인력과 시간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코스닥 문턱은 더 낮아질 태세다. 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좀 더 쉽게 해주려는 목적에서다. 질이 담보되지 않고 양만 늘어난다면 기술특례 상장이 장기적으로 시장 활성화를 가로막게 된다.

"상장 후 연구개발과 신약출시 대신 고위험 자산투자로 당장 이익을 내려는 곳이 적지 않다."

시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계속>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