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0년간 30% 폭락 21번…"걱정 NO, 건강한 조정"
AI요약 ☞ 앤서니 폼플리아노가 최근 비트코인 하락을 '건강한 조정'으로 평가했다. 그는 공포·탐욕 지수가 극단적 수준에 도달해 바닥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며, 비트코인의 장기 상승을 전망했다. 폼플리아노는 "자산 가격이 상승하려면 변동성이 필수"라며 여전히 매수 기회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투데이 홍진주 기자] 비트코인(BTC)이 11월 들어 약 22%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오랜 암호화폐 지지자이자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폼프 인베스트먼트 설립자 앤서니 폼플리아노는 비트코인의 하락을 '건전한 재설정(healthy reset)'이라고 평가했다.
2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 크립토 베이직에 따르면 폼플리아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지난 10년간 30% 이상 하락을 21번 경험했으며, 그중 7번은 50% 이상 폭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정도 하락 주기는 지난 10년간 거의 1년 반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것과 같다"며 "이러한 극심한 변동성이 비트코인의 특성"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사상 최고치 대비 약 33% 하락한 것에 대해 폼플리아노는 "건전한 재설정"으로 규정하며, 시장의 새로운 참여자와 연말 매도 압력이 비트코인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폼플리아노는 비트코인이 바닥에 가까워졌다고 보며, 변동성이 줄어들고 안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징후 중 한 가지로 극단적 투자 심리를 들었다. 그는 "최근 공포·탐욕 지수가 비트코인 8, 주식 6까지 떨어졌다. 이는 매우, 매우 드문 현상"이라며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폼플리아오는 "극단적 공포로 인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레버리지가 이미 시장에서 제거된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 시장이 바닥을 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에 따르면 미결제약정(OI)과 레버리지 수준은 대규모 청산 직전인 10월 초에 훨씬 더 높았다. 고위험 포지션이 사라지고 심리가 위축되면서 이제 시장이 바닥을 형성하고 있다는 게 폼플리아노의 분석이다.
또한 폼플리아노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최근 2년 동안 크게 감소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반에크(VanEck)의 매트 시걸을 인용해 "변동성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과거 80% 폭락 대신 40% 내외의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30~37% 하락이 이러한 패턴과 일치한다"며 "변동성이 낮아진다는 것은 극적인 상승세가 줄어들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향후 하락폭도 작아질 수 있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폼플리아노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오히려 긍정적 신호가 될 수도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변동성이 있어야 자산이 상승한다"며 올해를 포함해 매년 비트코인을 계속 매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폼플리아노는 "비트코인은 여전히 주식 대비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며, 연 20~35% 상승만으로도 장기적으로 강력한 투자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비트코인을 암호화폐의 '카테고리 승자'라고 부르며 월스트리트가 집중 투자하는 유일한 암호화폐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