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xAI, 사우디 AI 데이터센터 첫 고객…엔비디아 협력 강화

AI요약 ☞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가 건설되며, 엔비디아와 xAI가 협력한다. 일론 머스크와 젠슨 황 CEO는 미국-사우디 투자포럼에서 이를 공식 발표했다. 사우디의 AI 주권 전략과 엔비디아의 글로벌 칩 공급 확대가 맞물렸다는 평가다.

2025-11-20     AI리포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 AFP 연합뉴스]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며, 일론 머스크의 xAI가 첫 고객으로 참여한다. 엔비디아와 xAI는 19일(현지시간) 미국-사우디 투자포럼에서 이를 공식 발표했다.

CNBC에 따르면, 세계 최대 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인 이번 사업은 사우디 국부펀드 주도로 설립된 AI 기업 ‘휴메인’(Humain)과 함께 진행하며, 첫 고객으로 xAI가 합류한다. 

해당 데이터센터는 500메가와트(MW) 수준으로, 이후 점차 규모를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휴메인은 향후 수년간 이 프로젝트에 최대 6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데이터센터에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표 중 일론 머스크 CEO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규모를 잘못 언급하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 것"이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 5월 엔비디아가 휴메인과 맺은 500MW 규모 AI 칩 공급 계약을 기반으로 한다. 휴메인은 올해 초 사우디 공공투자기금(PIF)이 설립했으며,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사우디를 방문했을 때 처음 발표됐다. 황 CEO는 "매출 0달러에서 시작한 스타트업이 이제 일론 머스크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짓는다"고 강조했다.

해당 시설은 엔비디아가 주장하는 '소버린 AI' 개념의 대표적 사례다. 엔비디아는 각국이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안보와 문화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자사의 고가 AI 칩 시장을 확장하는 전략과도 맞물린다.

젠슨 황 CEO가 트럼프 대통령이 후원하는 행사에 참석한 것은 엔비디아가 AI 칩을 중국에 수출하기 위한 라이선스 확보를 로비하는 과정에서도 주목할 만한 움직임이다.

한편, 휴메인은 엔비디아뿐 아니라 AMD와 퀄컴과도 협력한다. AMD는 2030년까지 1기가와트(GW)급 전력을 요구하는 MI450 AI GPU를 공급할 예정이며, 퀄컴은 AI200·AI250 데이터센터 칩을 제공해 200메가와트급 전력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