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화 금융 시스템 확산에 국채도 토큰 형태로 기능할 것"
자본연 세미나…"무위험 금리 기준점·담보증권 활용 등 기능 필수적"
토큰화 금융 시스템이 점차 확산하면서 국채도 국채 토큰 형태로 그 기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자본시장연구원 김필규 선임연구위원과 정화영 연구위원은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채 토큰화 이슈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무위험 금리의 기준점 역할, 담보 증권으로의 높은 활용도 등 국채의 역할과 기능은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더라도 금융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발행 당국의 주도로 국채를 직접 토큰의 형태로 발행한 사례는 홍콩 등 일부 국가에 그치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이는 토큰화를 지원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 전반의 인프라가 아직 충분히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단기간 내에 국채 발행이 토큰 형태로 전환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채권 토큰을 상용화하기 위한 시범 프로젝트가 확산하면서 점진적으로 토큰화 시스템의 인프라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채 토큰 발행 기반을 점차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두 연구원은 또 펀드의 토큰화를 통해서도 국채의 토큰화가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글로벌 토큰화 펀드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MMF(머니마켓펀드) 유형의 토큰화 펀드로, 이들 토큰화 MMF는 주로 미국 시장에서 자산을 단기 국채로 운용하고 있다"며 "토큰화 MMF는 사실상 즉각적인 결제가 가능해 자금 관리의 유연성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기존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했던 담보 증권으로의 사용도 가능해지면서 활용도가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에서도 향후 글로벌 확산 속도에 영향을 받으며 토큰화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충분한 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며 특히 "국채 토큰화와 관련한 단계적 로드맵을 마련해 디지털 금융 전환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