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2025] 쿠팡, 정산 지연·광고비 강요 지적에 "내부 금지 정책 개선 중"
박대준 쿠팡 대표 14일 산자위 국감 출석해 답변 "결제 기간 단축 노력 중...광고비 강요는 사실 아냐"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쿠팡의 거래 관행을 둘러싼 불공정 논란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회는 쿠팡이 입점업체들에게 대금 정산 지연과 광고비 강요 등 불공정 행위를 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박상웅 의원(국민의힘)은 쿠팡이 국내 중소상공인에게 피해를 주는 시장 지배 사업자로 변질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쿠팡이 입점업체의 대금 정산을 늦추고 광고를 강제로 집행하게 만든다. 이런 행태를 업계에서는 종합 갑질 세트라고 부른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대준 쿠팡 대표는 "광고비나 프로모션 비용을 강요한다거나 BM(브랜드 매니저)들이 그런 행위를 하는 것은 내부 정책적으로 아예 금하고 있다"며 "만약 일부 직원이 그런 행동을 한다면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쿠팡의 정산 주기도 꼬집었다. 그는 "쿠팡은 상품을 직매입하는 구조인데도 대금 지급이 두 달 가까이 걸린다"며 "네이버는 9일, 공영홈쇼핑은 10일 내 정산하는데 쿠팡은 60~63일이 걸린다. 이런 구조가 영세업자들의 자금 흐름을 막고 있다"고 질타했다.
관련해 박 대표는 "입점 사업자들이 힘들어한다는 점을 알고 있다"며 "결제 기간 단축을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개선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 중개 거래가 아닌 직매입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정산 주기가 다소 길다. 이 부분을 감안해 달라"고 덧붙였다.
입점 업체들에게 광고비 집행을 강요한다는 지적에는 박 대표는 "세이버팩이라 불리는 로켓그로스 프로그램은 입점 사업자가 쿠팡의 물류 인프라를 이용해 로켓배송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중소 사업자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라고 해명했다.
이철규 위원장은 "다른 플랫폼 사업자들은 결제 기간이 길지 않다"며 "쿠팡도 지적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시정 조치를 강구하라"고 주문했다. 박 대표는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