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안심보장' 커뮤니티로 확장…UGC 거래 신뢰도 높인다
AI 탐지 기반 위조 대응률 95%…피해 신고도 80% 급감 9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 도입해 권리자 보호 강화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네이버가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커머스 서비스 뿐 아니라 카페∙밴드∙블로그 등 커뮤니티 기반 이용자 제작 콘텐츠(UGC) 영역으로까지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가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위조상품 유통 방지 ▲비정상 거래 탐지 ▲위해상품 유통 차단 등 이용자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과 조치 등을 공개한 바 있다.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는 그동안의 ‘안심보장’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조상품 신고 건수와 게시물 등록 건수가 급감하고 있다.
네이버는 위조상품에 대해 인공지능(AI) 탐지 및 모니터링으로 판매자 신뢰도 점검 및 거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스토어 입점 단계부터 위조 이력이 있는 판매자를 사전 차단하고 도용 의심몰을 사전에 탐지하는 기술 조치를 강화 중이다. 이에 더해 원스트라이크 아웃, 구매보호조치 등 '위조상품 클린프로그램' 정책을 병행하며 월 평균 1000개가 넘는 몰들을 사전 차단한 결과, 올해 쇼핑 영역에서의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을 95.6%까지 끌어올렸다.
또 플랫폼의 직접 감정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협력하는 권리사와 브랜드사를 300여 곳으로 확대하고, 전문 감정기관과 협업하는 등 위조 의심 상품에 대한 감정 의뢰와 검증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안심보장 활동의 역량과 노하우는 UGC 생태계로도 확장, 카페∙밴드∙블로그에서의 위조상품 판매 게시중단 신고는 매년 급감해 2025년 상반기 신고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다. 네이버는 연내 밴드에서 가품 신고 메뉴 접근성을 더욱 개선하고, 위조상품 자동 탐지 기능을 고도화 하는 등 UGC 영역에서의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오는 9월1일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도 도입해 쇼핑 서비스 내 지식재산권 침해 상품으로부터 권리바와 구매자 보호에 더 적극적으로 나선다. 권리자의 동의 없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상표권이나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상품을 등록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부문장은 "네이버는 기술과 정책적 노하우가 축적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위조 및 위해상품으로부터 구매자들을 보호하고, 나아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믿고 거래할 수 있는 쇼핑 환경을 만드는 데에 함께 힘쓰고 있다"며 "쇼핑, UGC 등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확대해 건강한 플랫폼 환경을 구축해 서비스 신뢰도를 높여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