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혁신펀드, 반도체 등 5대 분야에 2500억원 투입

4년간 총 1조원 규모로 국가전략기술 육성 하반기부터 자펀드 조성 및 투자 개시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 촉진 목표

2025-04-28     석대건 기자
[사진: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과학기술혁신펀드 2025년 주목적 투자방향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첨단 바이오, 첨단 모빌리티, 양자 등 5개 분야를 확정했다.

과기정통부는 25일 개최된 운영위원회를 통해 과학기술혁신펀드 2025년 주목적 투자방향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혁신펀드는 정부 R&D 자금을 관리하는 전담은행의 출자와 민간 투자를 매칭하여 2028년까지 4년간 약 1조원 규모의 순수 민간재원으로 조성되는 과학기술분야 특화펀드다. 올해는 총 2500억원 규모로 자펀드를 조성하여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 시장수요가 높은 5개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

기술선도 분야인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1개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350억원을 바탕으로 총 10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견·중소기업에 4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의무 투자하도록 하여 우수한 기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격·경쟁 분야인 인공지능, 첨단 모빌리티, 첨단 바이오 분야는 각 1개의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200~210억원을 바탕으로 각각 총 400~42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4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우수 기술평가 기업에 80% 이상 의무투자하게 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유망한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한다.

미래도전 분야인 양자 분야는 총 3개의 운용사를 선정하여 은행 출자금 203억원을 바탕으로 총 339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3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의무투자하게 해 기술개발 초기단계인 양자 분야의 사업화를 가속화한다. 특히 55억원의 AC(엑셀러레이터)·기술지주 전용 펀드를 신설하여 유망한 양자 분야 초기창업기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자펀드 운용사가 공공기술을 사업화한 기업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된 기술을 사업화한 기업에 투자할 경우 인센티브를 받도록 설계하여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한다. 과학기술혁신펀드의 2025년도 자펀드 조성 및 운용을 위한 위탁운용사 선정은 5월 12일에 공고하고, 6월 말까지 선정을 완료하여 하반기부터 자펀드 조성 및 투자를 개시할 예정이다.

이상윤 과기정통부 성과평가정책국장은 "과학기술혁신펀드는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사업화하여 실질적인 산업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한다"면서 "앞으로도 우리의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혁신펀드 결성규모>

구분 세부 분야 출자액(억원) 결성목표액(억원) 선정운용사수 펀드별 목표결성금액(억원) 최대출자비율
선도 반도체·디스플레이 350 1,000 1 1,000 35%
추격·경쟁 인공지능 210 420 1 420 50%
첨단모빌리티 200 400 1 400 50%
첨단바이오 200 400 1 400 50%
미래도전 양자(중·대형) 170 284 2 142 60%
양자(소형) 33 55 1 55 60%
합계 1,163 2,559 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