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소 운동 30분 효과…ADHD 앓는 성인, 인지 기능 개선

대만대학교 연구진은 유산소 운동이 ADHD 성인과 일반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ADHD 성인에서는 뇌의 억제 기능이 향상되어 인지 기능 개선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2025-02-12     AI리포터
유산소 운동 이후 ADHD 성인의 인지 기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12일(현지시간) IT미디어에 따르면 대만대 연구팀은 유산소 운동이 ADHD 성인과 일반인에게 미치는 뇌 반응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ADHD 성인 26명과 일반인 26명을 대상으로 30분간의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후, 대뇌피질의 흥분성과 인지 기능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일반인은 운동 후 뇌의 흥분을 높이는 피질 내 촉진(ICF)이 증가하고 뇌의 흥분을 억제하는 단기간 피질 내 억제(SICI)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가 전반적으로 활성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 ADHD 환자는 운동 후 SICI가 증가했다. 이는 평소 저하되어 있던 억제 기능이 개선된 것을 뜻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운동 후 ADHD 환자의 인지 기능이 개선됐다는 것이다. ADHD 환자는 부적절한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과 새로운 운동 기술을 습득하는 능력이 향상됐으며, 이는 SICI 증가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유산소 운동이 ADHD 환자의 억제 기능을 개선하고, 인지 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