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금보원 “올해 전체 은행, 생성형 AI 활용 금융사 대상 사이버 모의훈련 진행”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은 사이버위협 대응을 위한 금융권 블라인드 모의훈련 성과 및 향후 계획을 3일 밝혔다.
금감원은 매년 사이버위협이 양적으로 확대, 질적으로 고도화 돼 감에 따라 외부 위협으로부터 국내 금융회사의 전자금융기반시설을 안전하게 보호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금융보안원은 금융감독원과 함께 국내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화이트해커 등을 통한 사이버 모의훈련을 올해 2차례 실시했다. 훈련 일시‧대상‧방법을 비공개로 금융회사의 탐지‧방어 체계를 불시에 점검하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해 훈련의 실효성을 높였다.
상반기에는 전체 은행(19개)을 대상으로 실제 6개 회사에 대한 훈련을 진행했고 하반기에는 제2금융권 및 생성형 AI(LLM)을 대상(83개)으로 총 12개 금융회사 등을 불시에 점검했다.
하반기에는 망분리 로드맵의 일환으로 조만간 금융권이 도입하게 될 생성형 AI의 강건성을 점검해 금융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도출 후 보완하도록 했다.
2차례 훈련 결과 대부분의 금융회사는 외부 사이버위협에 충분한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만 일부 금융회사에서는 소비자 피해가 유발될 수 있는 중요 취약점이 발견되는 등 미비점이 나타나 즉시 보완조치 했다.
A금융회사의 웹서버에 허가받지 않은 파일 업로드가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돼 이에 대한 보안통제 강화 등 즉시 조치가 이뤄졌다. B금융회사는 디도스(DDOS) 모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서비스 지연이 발생한 바 모바일 앱(App)에 대응체계의 미비점을 확인했다.
금감원과 금보원은 이번 훈련을 통해 금융회사가 기존의 훈련 방식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사이버위협 대응체계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고, 경영진을 포함해 회사 내 전반적인 사이버보안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