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추진단 출범 착수...국장급 인사 발령
추진단 출범 준비 과에 국장급 인사와 서기관 발령...편의상 추진단 이전 지원단으로 불려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항공청(항공우주청) 신설 관련 추진단 준비에 들어간 가운데, 최근 국장급 인사와 과장급 인사를 관련 업무로 발령낸 것으로 확인됐다. 우주항공청 추진단 출범 본격화에 들어간 것이다.
이를 두고 편의상 ‘추진단’ 이전 단계의 ‘지원단’으로 불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주, 항공과 관련된 신설 정부 조직은 국정과제에 포함돼 있는 상황이다.
지난 15일 과기정통부는 노경원 국립중앙과학관 전시교육단장(일반직 고위공무원)과 박진희 서기관을 거대공공연구정책과 지원 근무로 발령낸 것으로 파악됐다. 국장급 인사를 과 지원 근무로 발령낸 것은 이례적이다.
거대공공연구정책과는 우주 등을 담당하는 거대공공연구정책관(국)의 총괄과이다. 현재 우주항공청 설립 및 추진단 출범을 거대공공연구정책과에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주항공청 신설은 실무 작업이 진행 중으로 과기정통부 내에 실무 TF는 만들어진 상태다. 노 국장과 박 서기관이 우주항공청 추진단 관련 업무를 맡게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최근 마련된 100일 취임기자회견에서 항공우주청 대신 “미국 항공우주청(NASA)과 같은 우주항공청을 만들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항공우주청에서 우주항공청으로 명칭이 바뀐 것이다. 민간 중심의 뉴스페이스 시대에 맞게 항공보다는 우주 기술을 더 많이 신설 조직에서 다루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현재 대통령실 과학기술비서관, 과기정통부 공공거대연구정책관에서 우주항공청 구성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8월 초에 열린 간담회에서 “우주 거버넌스(정부 조직)와 관련해 지금 여러 의견을 듣고 있다. 다만 경남 사천에 우주항공청을 만들겠다는 것은 국정과제에 포함돼 있다. 이 과정에서 어떤 구체적 밑그림을 통해 조직과 인원을 갖출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며 “집행 중심의 부 밑에 청으로 할 것인지, 정책 조정 등 부처 조율을 위해 국무총리실 산하에 ‘처’로 할 것인지 등도 함께 이야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신설 정부조직은 정부조직법 통과와 관련이 돼 있다. 우주를 중점적으로 하는 정책의 전문성을 따져보면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신설 조직이 꾸려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발사체, 위성 산업 특화지구를 포함한 삼각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후보지가 선정된 2개 특화지구(발사체:전남, 위성:경남)는 사업계획서 검토 후 국가우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번 달에 지정할 예정이다. 신규 1개 특화지구는 연구, 인재 개발 기능을 중심으로 구체적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대로 관련 절차를 거쳐 지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