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28㎓ 지하철 와이파이, QR코드로 접속한다
5G 28㎓ 지하철 와이파이, 2, 5∼8호선 구간 대상 연말 상용화 예정 속도, 기존 대비 10배 수준 빨라, 품질 격차 계속 개선 중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가 연말에 5G 28㎓ 지하철 와이파이(2, 5∼8호선)를 정식 서비스하는 가운데, 이용자들은 QR코드로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통사 가입자 뿐 만 아니라 알뜰폰 이용자도 QR코드를 통해 5G 28㎓ 지하철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QR코드는 열차 내에 다 부착이 돼있어 이용자들이 어렵지 않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16일 과기정통부는 지하철 본선 2호선, 5∼8호선의 경우 연말에 5G 28㎓ 와이파이를 정식 서비스 한다고 밝혔다. 이날 조경식 제2차관은 이동통신3사, 삼성전자, 서울교통공사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오전 0시 30분, 5G 28㎓ 기지국 구축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을 방문해 안전사항을 점검하고 현장 작업자들을 격려했다.
행사가 끝난 후에 기자단과 가진 백브리핑에서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 Service Set Identifier)를 구분할 필요없이 QR을 통해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며 “이를 통해 이통사 이용자 뿐만 아니라 알뜰폰 이용자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늦어도 연말에 5G 28㎓ 와이파이를 정식 서비스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인해 미뤄질 가능성은 있다. 이법은 중대 재해가 사업장에서 발생한 경우 사업주,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시민과 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
정부는 5G 28㎓ 기지국을 3월까지 설치하고, 4월에는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후 와이파이 접속장치(AP)와 라우터 등을 설치한다. 상반기가 아닌 연말에서 서비스 상용화를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 윤상훈 과기정통부 주파수정책과 사무관은 “현재 통신사가 AP를 개발하고 있다. 개발을 하더라도 인증 작업을 거치는 등 절차가 있다보니 시간이 걸린다”며 “5G 28㎓ AP가 가정에서 쓰는 AP와 다르다. 지금은 없다. 지하철에는 와이파이6E AP가 없고, 예전 AP가 있다. 와이파이 6E, 즉 최신 AP는 개발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객차 내 공사까지 완료하면 서울지하철 내 와이파이 속도는 현재보다 10배정도 빨라질 전망이다. 지난해 과기정통부와 통신3사는 실증에서 기존 71.05Mbps 수준인 와이파이 속도가 700Mbps로 빨라지는 것으로 확인했다. 또 AP 1대에 단말기 80대까지 안정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했다. 기지국 구축에 들어가는 장비는 3사 모두 삼성전자 제품이다.
지하철 1·3·4호선이 구축대상에서 빠진 것은 터널이 아닌 실외 공간 선로가 많아 구축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최 국장은 “(전파가) 안좋은 것이 실외구간이다. 품질이 잘나올수 있는 실내 등 지하 구간이 많은 구간(2, 5∼8호선)을 정비해서 하고 있다”며 “(열차가) 지상· 지하로 바뀌면서 속도가 떨어지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것을 잡아나가고 있다. 지상구간이 많은 구간은 사업자들과 협의해 단계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5G 28㎓ 지하철 와이파이 기지국 구축은 통신사가 지난 2018년 주파수 경매 시 약속한 의무구축 계획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2018년 경매 할당 당시 이동통신3사는 2021년 말까지 각 사별로 1만5000대 28㎓ 장치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말까지 약속을 지키지 못해 주파수를 반납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다행히 과기정통부가 현실을 고려해 지하철 공동구축 기지국을 의무 구축 수량에 포함하기로 결정해 주파수 할당 취소 등은 피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날 현장에서 KT 관계자는 “하루 6개 역사에 장비 12~15개 정도를 설치하고 있다”며 “지하철공사의 협조를 바탕으로 순조롭게 구축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조경식 차관은 “일반 시민들이 지하철에서 와이파이를 많이 이용하는데 큰 지장없이 빠르다고 체감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할 것”이라며 “품질 등이 점차 개선이 되고 있다. 이번 사업 목적이 국민들 통신품질 향상을 위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업자들이 책임을 갖고 열심히 구축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