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보이스피싱 기승에 금융권 공동 대응 5번째 연장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여신금융협회 등 10개 협회에 공문 전달

2021-03-19     강진규 기자
금융감독원이 최근 보이스피싱 등 불법금융행위에 대한 공동홍보를 요구하는 공문을 금융권에 전달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감독원이 보이스피싱 등 불법금융행위 예방을 위한 범금융권 공동 홍보에 관한 행정지도를 1년 더 연장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전국은행연합회, 한국금융투자협회, 상호저축은행중앙회,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신용협동조합중앙회, 새마을금고중앙회, 수협중앙회, 신용정보협회, 한국여신금융협회, 한국대부금융협회 등에 불법금융행위 예방을 위한 금융권 공동 홍보에 협조해 달라는 내용을 전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6년 이후 협회들을 중심으로 공동 홍보를 해왔는데 최근 이를 연장하게 됐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등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 범금융권 홍보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 금감원은 2016년 행정지도 형식으로 금융권에 공동 홍보를 요청했다. 이후 매년 행정지도를 갱신하는 방식으로 공동 홍보를 진행했다. 이번에 5번째로 요청을 한 것이다.

금융회사들은 불법금융행위 피해를 막기 위해 금융당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일례로 KB국민은행은 지난 17일 금융감독원의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KB국민은행은 “금융회사를 사칭한 문자메시지로 ‘재난지원금 선별지급 대상 여부 확인’이나 ‘비대면 대출신청’ 등을 핑계로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주소(url)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는 100% 보이스피싱”이라며 “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된 허위 투자정보로 악성 인터넷주소(url)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니 각별한 주의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신한은행도 지난 16일 4차 재난지원 사기대출 및 백신 접종 등을 빙자한 보이스피싱과 카카오톡 등 매신저를 통한 피싱 범죄가 확산돼 주의가 요구된다고 고객들에게 공지했다.

금감원은 이번 협조 공문에서 “금감원과 범금융권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근절을 위해 총력 대응한 결과, 금융사기 감소, 대국민 인식제고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며 “그러나 코로나19 등으로 최근 감소세를 보이던 보이스피싱 피해규모가 향후 다시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고, 갈수록 범죄수법이 지능화·교묘화 되는 등 대응하기 어려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과 관련해 올해 매스미디어 활용 홍보, 온라인 홍보, 생활밀착형 홍보, 민관 합동 홍보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불법금융행위 대응에 동참하는 것에 공감하면서도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대응도 변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금융업 진출이 가시화되고 핀테크 서비스도 확산되고 있는 만큼 빅테크, 핀테크 기업들도 공동 활동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 금융회사들은 동일업무, 동일규제는 물론 동일한 책임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요구가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보이스피싱 신고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보이스피싱 신고는 4만5921건에서 2018년 7만218건, 2019년 7만2371건으로 증가했다. 그런데 2020년에는 2만5857건으로 줄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 보이스피싱 조직이 쇠퇴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지난해 줄었던 것에 반작용으로 올해 보이스피싱이 다시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