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 소비자경보 19일에 1번씩 발령...역대 최고 수준

금감원 2020년 소비자경보 19회 발령...2014년 1억건 정보유출로 20회 이후 최대 코로나19 확산 관련 금융범죄, 사기, 보이스피싱 등 창궐

2021-01-03     강진규 기자
지난해 코로나19와 관련된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투자사기 등이 창궐하면서 금감원이 19회나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이미지: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발령한 소비자경보 건수가 2014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각종 금융범죄와 사기가 창궐한 게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3일 금융당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해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가 총 19회에 걸쳐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지난 1년 간 19일에 1번씩 금융 소비자경보를 발령한 것이다.

금감원은 2012년 금융소비자보호처 출범 후 금융범죄, 사기, 정보유출, 해킹, 소비자피해 확대 등 소비자보호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소비자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경보 발령 수준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경보는 2019년 4회, 2018년 6회, 2017년 10회가 발령됐다. 2017~2019년 3년 간 발령된 경보 건수와 2020년 한해 발령된 건수가 비슷한 것이다.

또 2016년 8회, 2015년 6회, 2013년 10회, 2012년 3회의 소비자경보가 발령됐다. 다만 2014년에는 20회 소비자경보가 발령돼 2020년 보다 1회가 더 많았다. 2014년은 그해 1월 발생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에서 1억건 정보유출 사건의 영향이 컸다. 금감원은 2014년 1월에만 정보유출에 따른 피해 예방을 위한 경보를 4차례 발령했다. 즉 2020년은 대형 보안 사건이 있었던 2014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소비자경보가 발령된 것이다.

2020년 소비자경보가 연이어 발령된 원인은 코로나19 때문이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그와 관련된 범죄, 사기 시도가 늘었다. 지난해 3월초 마스크 품귀 현상이 발생했을 때는 마스크, 손소독제 구매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을 경고하는 소비자경보가 발령됐다. 이어 3월 말에는 코로나19 상황을 틈탄 불법대출광고 경보가 발령됐고, 4월에는 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경보가 내려졌다. 

금감원은 5월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이 커진 상황에서 급전 제공, 고액 일당 지급 등을 미끼로 한 보험사기 경보를 발표했다. 이밖에도 투자사기, 불법대출,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가 발생해 경보가 발령됐다. 

금감원은 경보를 발령할 때 실제 범죄 사례, 징후들을 분석한다. 즉 경보가 발령됐다는 것은 그 만큼 범죄 시도가 많았다는 것을 뜻한다. 코로나19로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들을 범죄자들이 노린 것이다. 2020년 금융범죄로 인한 실제 피해 사례도 상당한 것으로 우려된다.

문제는 2021년에도 금융범죄, 사기 등이 창궐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가 2021년에도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을 노리는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불법대출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내년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나 코로나19 피해 금융지원 등 이슈를 악용하는 범죄가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