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지방자치단체들이 블록체인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시는 일반임기제공무원 블록체인 전문 요원을 22일까지 모집한다. 임용 등급은 7급이며 근무 기간은 2년이다. 담당 업무는 대체불가토큰(NFT), 분산신원증명(DID) 등 블록체인 기반 행정시스템 개발 및 운영, 블록체인 기반 IT 신기술 민관 협업 추진 등이다.  

자격 요건은 8급 또는 8급 이상의 공무원으로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 등에서 정보시스템, 블록체인, NFT  응용프로그램 개발, 운영 경력 등 2년 이상 보유자다.

이번 채용으로 서울시는 그동안 서울미디어재단을 통해 진행해 온 NFT와 메타버스 융합 사업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18년 1233억원을 투자한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5개년 중장기 계획으로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유망 기업 조성, 실무 인재 760명 양성, 블록체인 접목 14개 사업 추진 등의 내용을 포함했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전자근로계약, 노후 민간 건축물 관리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등 여러 행정 서비스를 개발했다. 

부산시도 지난 2019년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이후 블록체인 기반 부동신집합투자,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 통합 블록체인 서비스 이용 앱 비패스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부산디지털상품거래소 설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추진위는 이달 중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이어 연말 부산디지털상품거래소 출범을 목표로 앱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부산디지털상품거래소는 토큰화된 영화, 게임 지식재산권(IP) 을 시작으로 가상자산, 토큰증권(STO) 거래를 지원할 방침이다. 

앞서 부산시는 블록체인 사업을 위해 다양한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1월에서 2022년 10월까지 43개사와 블록체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는데 이중 22개사는 부산으로 본사 이전을 추진 중이다. 또한 NHN 외 9개사는 부산시 내 신규 투자 협력을 검토하고 있으며, 바이낸스 외 9개사와는 협력사업 발굴 및 상호 협력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부산시는 올 상반기 중 블록체인 기업 유치 및 지원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대구시 역시 블록체인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달 '2023년 블록체인 시민체감서비스 유지 보수' 입찰 공고를 냈다. 블록체인 공동활용 플랫폼과 블록체인 기반 DID를 적용한 시민 체감 서비스 대구ID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다. 

대구시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과 기관을 지원하기 위해 오픈 API 형태로 블록체인 공동활용 플랫폼을 지난 2021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대구시는 개인 인증 서비스 간소화,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 지원, 플랫폼 내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계, 블록체인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발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대구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을 묶어 ABB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9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출신 류동현 AI블록체인과장을 임용해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10월에는 플랫타익스체인지, 소셜인프라테크 둥 2개 블록체인 역외 기업을 대구에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11월 234억원 규모의 ABB 성장 펀드를 조성했다. 

인천시는 블록체인 허브 도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해 5월 후보 시절 인천시를 블록체인 허브 도시로 만들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핵심 과제로는 ▲디지털산업진흥청 유치 ▲디지털자산거래소 유치 ▲블록체인 칼리지 개설 ▲블록체인 기술 실증 통합플랫폼 구축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유치 ▲인천 디지털 자산 산업협회 설립 등이 있다.

업계에서는 지자체들의 블록체인 사업이 성공하려면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지자체 및 정부 기관이 시행하는 블록체인 사업에 자문 위원 및 평가 위원으로 여러 차례 참여한 한 업계 관계자는 "2018년부터 각종 블록체인 사범사업이 진행됐지만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준 곳이 없는데, 이는 하청 구조의 문제로 특정 기업이 이미 개발한 내용을 포장만 조금 바꿔 납품하는 경우가 태반이다"며  "각 지자체 만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한 후 그에 맞는 기업을 선정해 직접 개발 과정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