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 엣지 컴퓨팅이 뜨고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정부가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민·관 협력모델(PPP)'을 통해 확보하려 하는 가운데 관련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다.

NHN이 포문을 열었다. NHN 자회사 NHN엔터프라이즈는 전라남도, 순천시와 협력해 순천시에 공공 클라우드센터를 설립한다.

NHN엔터프라이즈는 20년간 3000억원을 투자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및 스마트 IT산업 밸리를 구축한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에 구축되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정부가 지정한 공공 클라우드센터로 오는 2025년까지 전라남도 소재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이전 등에 대응한다. 

구축 비용은 NHN엔터프라이즈가 내고, 구축 이후 현지 공공기관들이 비용을 내고 인프라를 사용하게 된다. 공공기관들이 자체 역량으로 기존 IT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이전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는 만큼, NHN엔터프라이즈는 이같은 작업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MSP) 역할도 할 가능성이 높다. 

공공기관 IT인프라 클라우드 전환 사업은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22만대 가운데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에서 통합 구축 운영 중인 시스템(17%)을 제외한 83%, 즉 18만대 정보시스템을 오는 2025년까지 공공 혹은 민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것이 골자다. 올해가 원년이 될 것으로 보여 관련 업계의 관심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클라우드 전환과 관련 정부 및 공공기관들은 공공 클라우드 또는 민간 업체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다. 중앙 부처들은 대부분 NIRS가 운영하는 공공 클라우드센터(G클라우드)로 이전할 예정이지만 지방자치단체 및 산하기관, 공기업들의 경우 G클라우드 외에 다른 방식을 모색하는 곳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행정·공공기관 IT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해 NIRS 외에 지자체나 산하 기관들도 공공클라우드 센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PPP 방식도 적극 활용하려는 모습이다. 정부가 모든 걸 직접 투자하기 보다는 민간 기업들과 협력해 공공 클라우드 센터들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얘기다.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정한다. 일정 요건을 갖추면 심사를 거쳐 지정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정부가 구축하고 운영하는 NIRS가 유일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NIRS 외 지자체, 공공기관, 공사 등이 운영하거나 PPP 형태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도 확대될 전망이다. 다수 지자체 및 산하 기관들이 공공 클라우드 센터 지정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PPP 방식의 경우 행정안전부 차원에서 사례 발굴에 적극적이다.

정부 계획을 보면 2025년까지 지자체에서 6개, 공공기관에서 8개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지정할 계획이다. 2022년만에만 지자체 5곳(서울2, 부산, 대구, 경북), 공공기관 3곳(한국도로공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KLID)이 공공 클라우드센터로 지정될 예정이다.

2021년 56개 중앙부처·헌법기관 등이 제출한 국가정보화시행계획에 따르면, 올해 약 7조5211억원의 정보화 예산 가운데 클라우드 이용 예산은 8214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