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김동규 기자] 삼성그룹의 주요 의사결정을 담당했던 미래전략실 폐지가 가시화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6일 최순실 국정농단 국조특위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을 폐지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은 추후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미래전략실 없는 삼성이 어떤 방식으로 그룹의 컨트롤타워를 만들어 나갈지 이목이 집중된다.

삼성 미래전략실은 삼성과 영욕을 함께 해 왔다. 1959년 이병철 삼성 창업자가 만든 비서실 이래로 여러번 이름을 바꾼 채 삼성그룹의 주요 의사결정을 담당했다. 외환위기였던 1998년에 구조조정본부로 이름이 바뀌었고, 2006년 안기부 엑스파일사건 후 전략기획실로 개명됐다. 2008년 삼성 비자금 관련 특검 후 해체된 후 2010년 현재의 미래전략실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미래전략실에는 인사, 전략, 경영, 기획, 준법경영, 커뮤니테이션 등의 팀에 200여명 가까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삼성 서초사옥. (사진=위키미디어)

미래전략실은 권한에 비해 책임이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밀실에서 수뇌부 몇 명이 글로벌 기업인 삼성의 주요 의사결정을 하다 보니 폐쇄적인 결정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6일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은 59년 이래로 그룹의 컨트롤타워였다. 현재는 이재용 부회장, 최지성 부회장, 김종중 사장, 장충기 사장이 모여 주요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미래전략실 폐지가 밀실 의사결정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되기는 힘들다고 지적한다. 비슷한 형태의 컨트롤 타워가 만들어 질 수 있는 만큼 보다 근본적으로 황제경영을 견제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큰 그룹의 컨크롤타워는 필요한 조직이다. 이런 이유에서 단순히 미래전략실을 폐지해도 이름만 바뀐 또 다른 형태의 컨트롤 타워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황제경영이 계속 이어진다면 이를 보좌하기 위한 기구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황제경영의 폐단을 견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권오인 경실련 경제정책 팀장도 “미래전략실을 해체해도 어떤 형태이든지 비슷한 조직이 나올 것 같다”며 “세습경영, 황제경영을 막을 수 있는 지배구조 개선이 가장 우선 순위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삼성그룹 관계자는 “미래전략실 폐지는 확실하지만 시기와 방법에 대한 내용은 아직 나온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