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중전화망(PSTN) 기반의 정부 전화시스템을 인터넷전화로 대체한다. 

행정안전부는 11일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서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사업자 선정 설명회’를 열고 관련 업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자 선정 계획 등을 설명했다. 

행안부는 이날 설명회에서 내달까지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방안을 확정해 4월께 사업공고를 내고 5월에는 사업자를 선정, 6월에 사업권을 부여해 본격적인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라고 사업 일정을 밝혔다.

이 사업은 기존에 PSTN 방식으로 이뤄진 행정전화망을 사업자망을 이용해 인터넷전화망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기존 행정전화망의 내구연수(10년)가 도래한 데다, 광대역통합망(BcN) 구축계획의 일환으로 2010년 이후 모든 전화망을 인터넷전화로 전환키로 한 점 등을 감안해 추진키로 한 것이다. 

정부는 행정부문에 인터넷 전화 도입을 통해 통신비용 절감은 물론, 국민통신비 20% 절감을 위한 인터넷전화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행안부는 이를 위해 9개 통신사업자와 32개 별정통신 사업자에게 이번 사업을 개방, 4개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종전 정부 차원에서 전용망을 구축하던 것과 달리, 인터넷 전화의 경우는 외부구간은 사업자 망을 이용하고 정부는 이용자가 갖춰야 하는 주요 장비와 인터넷전화만 투자, 투자비용을 크게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이용요금도 기존 요금보다 낮춘다는 방침이어서, 요금 절감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전자정부통신망은 총 회선 2만5071회선을 이용하고 있고, 연간 통화료는 3240억원에 달한다. 

비용이 많이 드는 망 투자는 하지 않고, 요금은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투자비와 이용료 모두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보사회진흥원은 전용선 비용 만해도 230억원, 기본료 20억원, 교환기 등 장비 투자 및 유지비용 250억원 가량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의 인터넷전화망 도입은 사업자간 경쟁을 한층 촉진시키고, 중견 중소 업체들의 입지를 마련해주는 효과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동안 행정통신망은 정부가 PSTN 방식으로 일괄 구축하고 서비스는 KT, LG데이콤, SK네트웍스가 담당해왔으며, 특히 KT가 이 시장의 77%를 점유하고 SK네트웍스의 점유율은 3%에 불과할 정도로 기존 사업자 위주로 편중되는 현상을 낳았었다.

그러나 인터넷 전화를 도입하게 되면 경쟁이 본격화됨은 물론, 이를 통해 요금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종전 일반전화에서는 생각하기 어려웠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서비스와 영상통화를 비롯해, 인터넷 전화가 지닌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행정기관간은 물론 대국민 부가서비스를 크게 활성화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경미 기자 belle@ittoday.co.kr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