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성상훈 기자] 지난달 28일 중국 규제당국(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이 마이크로소프트(MS)를 반독점 혐의로 기습 조사를 실시한 뒤로, 중국내 외국계 기업들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향후 대규모 사이버전쟁으로 번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유사한 사례로 퀄컴 역시 반독점 문제로 중국내에서 조사를 받고 있으며 혐의가 입증될 경우 10억달러 이상의 벌금을 부과할 수도 있는 만큼 MS 역시 같은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정부부처 PC에서 윈도8 사용을 금지하고, 자국내 은행에 도입된 IBM 서버를 국산(중국제) 제품으로 교체하는 등 반미 운동에 가까운 활동을 전개중이다. 애플과 MS는 물론 구글, 페이스북, 시스코에 이르기까지 미국내 기업을 비판하는 보도 역시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이같은 중국의 행보는 미국과 이어오고 있는 사이버 전쟁에서 한발자국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고 외신들은 지적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미국내 기업 길들이기의 일환이라며 강도높은 비판을 내놓기도 했다.

지난 5월 미국이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군인 5명을 기소한 것에 대한 보복조치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같은 미국과 중국의 대립은 지난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2년 10월 미국 하원의원 정보특별위원회는 화웨이와 ZTE 등 중국 통신업체들의 장비에 백도어가 탑재되어 있어, 전시에 미국내 안보 시스템을 마비 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을 배제할 것을 요구했다.

백도어 존재 여부는 현재까지도 확인된바 없지만 당시 중국이 미국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보니, 미국과 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불씨가 됐다.

지난 7월 16일 미국 잭 루 재무장관도 미국내 금융기관과 의회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는 발언을 해 주목을 받았다. 보안 강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중국 해커들이었기 때문이다. 

루 장관 스스로도 미-중 제6차 경제전략회의차 중국을 방문했을때 휴대폰조차 조심해서 사용했다는 말도 함께 덧붙였다. 5월에 기소됐던 인만해방군 소속 중국인 5명도 해커 집단으로 지목됐던 61398부대 소속 장교들이었다.

미국이 다른 국가의 현역 군 관계자를 기소한 것은 이 때가 최초다. 그 대상이 G2 중 하나인 중국이라는 점만 놓고 봐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 중국이 지속적으로 조직적인 사이버 공격을 해오자 칼을 빼든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 등 일부 외신도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중국군의 조직적인 해킹에 정면 대응을 선언한 것으로 해석했다. 

물론 중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완벽한 조작이라고 강력하게 반발했고, 외신들은 중국을 상대로 한 사이버 선전포고 라며 대대적으로 이를 보도했다.

중국 공안총국이 지난달 말 발표한 MS 반독점혐의 긴급 조사를 위해 테스크포스 구성을 알리는 전문

퀄컴, MS 벌금시 미국 보복조치 예상
미국과 중국의 사이버전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해 2월 미국 보안업체 맨디언트(현 파이어아이)가 처음으로 중국 61398 부대를 해킹 진원지로 지목했고, 페이스북, 트위터, 애플이 줄줄이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세 곳 모두 개발자들을 타깃으로 했으며 악성코드를 사용해 공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사용됐다. 블룸버그 등 일부 외신은 동유럽 해커그룹을 지목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미국 보안기업은 중국을 진원지로 지목했다.

중국 역시 같은 시기에 국방부 대변인을 통해 중국 주요 웹사이트가 지난해부터 1개월 단위로 평균 14만4,000회 이상 해킹 공격을 받았고 이중 62.9%가 미국의 IP주소로부터 행해졌다고 주장했다.

올해 1월에도 바이두, 시나, 텐센트 등 중국내 주요 웹사이트도 광범위한 접속 마비 사태를 겪었고, 사이트 접속시 일련의 IP주소로 접속된 것을 바탕으로 볼때 해킹 가능성이 제기됐었다. 당시 IP는 미국 다이나믹 인터넷 테크놀로지사 주소로 확인된 바 있다.

양국의 주장을 확실하게 뒷받침할만 근거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으나, 지난해 6월 에드워드스노든의 폭로로 미 국가안보국(NSA)의 감청 이슈가 나온 뒤로는 미국의 이미지는 일단 구겨져 있는 상태다.

지난주에는 캐나다 국책 연구기관인 국립연구회의(NRCC)도 해킹 공격을 받았고, 이에 대한 진원지를 중국으로 지목하는 등 사이버 공격의 범위는 더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퀄컴, MS등 미국내 기업들이 중국에서 반독점 혐의 등으로 막대한 벌금이 부과될 경우, 미국 내에서도 어떤 형태로든 중국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 이후에 더욱 심화될 수 있는 대규모 사이버전쟁으로 확장되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 변호사협회 데이비드 J. 힉튼 변호사는 "사이버 공격의 실질적 피해는 노동자들이 고스란히 입게 된다"며 "공격을 받은 기업은 생산성이 떨어지고, 공장이 문을 닫으며 근로자들이 해고되는 등의 악순환이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힉튼 변호사는 "이같은 사이버 공격을 국가 차원에서 진행한다는 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