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유형별 동아시아 국가 가상자산 활동 점유율과 글로벌 평균 비교 [사진:체이널리시스]
플랫폼 유형별 동아시아 국가 가상자산 활동 점유율과 글로벌 평균 비교 [사진:체이널리시스]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국내 가상자산 전체 거래량의 68.9%가 업비트와 빗썸 같은 중앙화 거래소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 – 동아시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자산 시장을 주도했던 동아시아는 지난 몇 년 동안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는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전 세계 가상자산 활동의 8.8%를 차지하며 2년 연속 거래 규모 순위가 하락해 5위를 기록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동아시아는 중국에서 발생한 대량 거래 활동과 채굴 활동에 힘입어 거래량 기준 가상자산 상위 시장 중 하나였다. 중국의 엄격한 규제, 한국 가상자산 규제, 테라 루나 폭락 사태 등  영향으로 동아시아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됐다고 체이널리시스는 분석했다.

한국 가상자산 거래량 중 68.9%는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이뤄졌으며, 디파이 거래량은 훨씬 적다. 국내 규제 프레임워크다. 한국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소 계좌를 개설하기 위해 은행에서 실명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체이널리시스는 이러한 규제는 기관투자자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한다고 봤다. 실제로 한국은 거래 규모를 기준으로 아태지역에서 기관 중심의 거래가 가장 적은 시장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이유로 테라 루나 사건 이후 한국 내 팽배해진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지목했다. 테라 루나 사태 이후 한국은 준비금 보유 요건 등 중앙화 거래소에 적용되는 몇 가지 새로운 규정을 통과시켰다. 새로운 규제로 인해 체이널리시스는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를 높였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 중앙화 거래소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일본의 가상자산 플랫폼 사용은 중앙화 거래소와 다양한 유형의 디파이 프로토콜이 거의 고르게 분포된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중국과 홍콩은  대부분의 활동이 장외거래 또는 그레이 마켓 P2P 비즈니스를 통해 이뤄진다.

동아시아 국가별 유입된 가상자산 가치 [사진:체이널리시스]
동아시아 국가별 유입된 가상자산 가치 [사진:체이널리시스]

 

홍콩은 가상자산 친화적인 규제와 이니셔티브를 통해 동아시아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요한 지역으로 떠올랐다. 홍콩은 실거래량 기준으로 매우 활발한 가상자산 시장으로,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약 640억 달러(약 87조원)의 가상자산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홍콩의 인구가 중국 본토의 0.5%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동안 중국의 864억 달러(약 117조원)와 엇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거래량의 상당 부분은 홍콩의 활발한 장외거래 시장에서 발생했다.

‘2023 글로벌 가상자산 도입 지수 – 동아시아 보고서’ 전문은 체이널리시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