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E [사진:셔터스톡]
P2E [사진: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최지연 기자] 3N을 비롯 다수의 국내 게임사들이 P2E 진출에 한창인 가운데 여전히 국내에서는 불법으로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지난해부터 게임을 하면 돈을 버는 P2E가 주목받으면서 국내 다수의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사업에 뛰어들었다. 선두주자로 나선 위메이드를 시작으로 컴투스홀딩스와 컴투스,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등이 잇따라 진출한 가운데 엔씨소프트와 넥슨도 가세한 상황이다.

이처럼 3N을 비롯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사업을 전개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각 게임사들이 자사 대표 IP를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 출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기 때문이다. 올해 출시 예정인 각 게임사들의 기대작 대다수가 블록체인 게임으로 글로벌 출시될 예정이다. 

다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블록체인 게임을 즐길 수가 없다. P2E 게임은 게임 재화를 암호화폐로 교환해 현금화가 가능한데 국내 게임법상 사행성 게임으로 규정돼 국내에서는 서비스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임물관리위원회는 P2E 게임의 환금성이 사행성을 부추길 수 있다며 등급을 거부하고 있다. 제2의 바다이야기 사태가 재현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현재 게임사들은 글로벌 시장에 블록체인 게임을 출시하고 국내에는 블록체인을 제외한 버전을 별도로 출시하고 있다. 자국에서는 서비스 할 수 없자 타국으로 활로를 찾은 것. 이에 국내서 P2E 게임을 즐기기 위해 가상사설망(VPN)을 사용해 해외접속을 시도하는 이용자들도 늘고 있다. 

국내 진출을 시도했던 P2E 게임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파이브스타즈 포 클레이튼', '무한돌파 삼국지' 등이 출시됐으나 게임물관리위원회로부터 등급분류 취소 결정으로 받았다. 이에 두 게임은 게임물관리위원회 등급분류 취소 결정에 대해 행정소송을 진행 중이다. 

업계는 무조건적인 규제를 하기보다는 허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는 입장이다. 글로벌 흐름에 맞춰 P2E 게임 출시 자체를 막는 것이 아닌 적절하게 규제하면서 부작용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도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국내 게임 산업도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행성을 이유로 P2E를 무조건 규제할 것이 아니라 글로벌 흐름에 맞게  P2E의 어떤 부분을 허용하고 부작용은 어떻게 해결할지 등의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며 “게임 산업이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주도해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아직은 규제를 풀어달라고 논의할 때가 아니라는 목소리다. 최근 발생한 테라·루나 사태로 정부가 가상자산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시행하고자하는 상황 속에서 P2E·NFT 등 블록체인 관련 가이드라인이 생기면 업계에 더욱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형중 고려대 특임교수는 “당장 P2E 허용은 어려운 상황이다. 아직은 정부가 나설 때가 아니다”라며 “최근 M2E가 허용이 됐다. 사실 M2E와 P2E가 다를 것 없지만 운동과 게임을 다르게 보았기 때문이다. 게임사들이 해외에서 사례를 쌓아 나가면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P2E도 허용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삼하 숭실대 교수는 “규제를 풀어주면 좋겠지만 국내외 상황으로 볼 때 아직은 때가 아니다”며 “그동안 나왔던 가이드들을 보면 산업을 활성화 시키는 방향보다는 규제로 갈 방향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P2E 등 블록체인 게임은 국내보다는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한 게임이다. 해외 시장과 국내 시장의 차이점, 온도가 다른 부분들을 어떻게 맞춰 나갈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해외에서 가이드가 나온 후에 우리가 발맞춰 나가도 늦지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영상=디지털투데이 디퍼뉴스 데일리픽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