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네이버]
[사진 : 네이버]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네이버가 제2사옥 '1784'와 같은 미래형 공간 대중화에 나선다. 네이버클라우드의 5G 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의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 아크(ARC)를 주축으로 상용화에 돌입한다.

네이버랩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아크(ARC)와 5G 특화망 패키지를 2023년까지 상용화하겠단 로드맵을 8일 밝혔다.

아크는 AI와 로봇(Robot), 클라우드(Cloub)의 앞글자를 따온 말이다. 다양한 로봇이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인 아크(ARC)를 통해 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는다.

네이버 제2사옥 '1784'와 2023년 완공 예정인 제2데이터센터 '각 세종'은 인공지능(AI)·클라우드·5G·디지털트윈·로보틱스·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이 융합된 기술 테스트베드다.

예를 들어 '1784'에선 자율주행 로봇 루키, 얼굴 인식을 통해 시설을 이용토록 하는 클로바 페이스사인, 자동 회의록 작성 및 공유가 가능한 클로바노트, 네이버웍스 앱을 통한 온도·조명·환기 조절·식음료 주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세종'에선 서버 관리자를 돕는 로봇 및 자율주행 셔틀 버스 등 실험이 진행 중이다.

네이버는 대표적인 실증 사례인 두 공간을 구성하는 핵심 기술이 아크(ARC)와 5G 클라우드라고 설명했다. 이를 상용화하면 다른 건물들도 네이버 기술을 통해 미래형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사진: 네이버]
[사진: 네이버]

로봇 친화형 건물로 조성한 제2사옥 '1784'가 ARC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처럼 기존 건물들도 네이버 핵심 기술을 도입해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와 같은 방식을 통해 진화하는 게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네이버랩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아크아이(ARC Eye)와 아크브레인(ARC Brain)을 2023년까지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아크아이는 GPS가 통하지 않는 실내에서도 현재 위치와 경로를 알려준다.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해 로봇에 효율적인 동선을 전달한다. 사람으로 치면 눈과 같은 역할을 한다.

아크브레인은 모든 로봇의 이동, 측위, 서비스 수행을 일괄적으로 계획 및 실행한다. 사람으로 치면 두뇌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이용자(고객)는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해 네이버 핵심 기술을 공간 상황에 맞춰 다양한 옵션으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앞으로의 공간은 건물 이상으로 그 안에서 새로운 경험을 가능케 할 소프트웨어가 그 중심이 될 것"이라며 "네이버랩스는 아크(ARC)가 로봇 대중화를 이끌 시스템이라고 보며 이를 통해 대규모 공간 및 서비스 인프라와 효율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박원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미 많은 파트너들로부터 5G와 연계된 엔드투엔드(End-to-End) 클라우드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있음을 확인한 만큼 의료, 공항, 물류 등 다양한 영역에서 5G 클라우드 기반 혁신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네이버 기술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활용해 이용자(고객) 디지털 전환을 돕고 기술 대중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