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 추진을 본격화했다. [사진: 셔터스톡]
부산시가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 추진을 본격화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테라·루나 폭락 사태로 가상자산 시장이 혼란한 가운데 부산 디지털자산 거래소가 본격 설립절차를 밟고 있다. 부산시는 관련 정보제공요청서(RFI) 공고를 내고 이어 사업자 모집 공고를 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가상자산 관련 악재가 쏟아지고 있는 데다, 부산이라는 지역 특성상 접근성이 떨어지고 가상자산이 포함된 사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한 상황이다.  

최근 부산시는 공공사업 입찰 플랫폼이 조달청 나라장터에 '부산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을 위한 정보제공요청서(RFI)'를 공고했다. 이는 관심 기업들로부터 사업 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나 의견 등을 취합하는 절차다. 

부산시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 방안 및 증권형·비증권형 디지털자산 거래 시스템 설계 방안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RFI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 달 중으로 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RFI에 따르면 부산시는 공공성을 띈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설립한다는 계획인데, 가상자산을 비롯 NFT(대체불가토큰)와 증권형토큰(STO) 거래를 지원하는 통합거래소 형태다. 커스터디(수탁)를 별도로 두고 장기적으로는 디지털자산 선물 및 파생 거래소 모델도 염두하고 있다. 

설립 방안을 살펴보면 부산시는 은행사, 증권사, 가상자산 사업자 등 국내외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주식회사 형태의 법인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또 거래소 구축과 별개로 디지털자산 협력기구를 설립해 투자자 보호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해당 협력기구에는 불공정 거래를 감시하고 부실징후를 모니터링하는 '디지털자산 시장감시기구' 포함 ▲디지털자산 상장·평가기구 ▲블록체인 민간자율협회 ▲디지털자산 예금보험기구 등이 거론됐다. 부산시가 이 모든 기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이라고 명시돼 있다. 

부산시는 이번 RFI를 통해 추후 디지털자산 거래소 구축 및 운영 사업 추진 시 정보제공 내용을 적극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또 향후 부산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 관련 본사업 공고시 정보제공서를 제공한 업체에 대해 유사사업 수행실적을 인정해 가점을 부여한다.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추진 체계도. [사진: 부산시 관련 정보제공요청서(RFI)]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추진 체계도. [사진: 부산시 관련 정보제공요청서(RFI)]

부산시 블록체인육성 태스크포스(TF) 팀 측은 이번 RFI를 시작으로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을 위한 공식 절차에 들어갔다고 봤다.

지난 박형준 부산시장 체제 이후 블록체인 관련 사업 행보에 적극적이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품고 있다. 부산시는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로 선정되고 블록체인 기술 중심의 실험이 주를 이룬 데다, 거래소 관련 2020년 빗썸코리아가 부산시에서 통합거래소를 특구 사업으로 추진한 바 있지만 일부 부처의 시기 상조라는 의견 등으로 최종 선정되지 못했다. 

가상자산 시장 분위기도 위축돼 있다. 최근 테라·루나 폭락 사태로 새 정부의 가상자산 정책 기조가 활성화에서 규제로 급선회할 가능성도 커졌다. 테라의 스테이블코인 테라USD(UST)는 알고리즘 기반으로 달러와 일대일 가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설계됐는며, 이는 UST 가격이 하락하면 루나(LUNA)를 주면서 UST를 초과 구매토록 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유지하게끔 한 것이다. 최근 시장 하락장에 UST가 지난 8일(현지시간) 달러 대비 가격 비율을 맞추지 못하더니 끝내 회복하지 못해, 루나 가격도 100% 가까이 폭락, 사실상 테라 생태계가 붕괴됐다. 단시간에 벌어진 사태로, 국내 투자자들도 큰 손실을 입은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부산시 측은 "(가상자산 시장에) 문제점이 많다라는 것은 알고 있었던 사실이기에 예금보험기구라든지 시장감시기구 등을 만드려고 하는 것"이라며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가상자산과 같은) 비증권형의 경우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을 따르고, 증권형의 경우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부산이라는 지역 특성상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지속 지적돼 왔으며 지난해 말 출범한 부산블록체인산업협회 내에서도 협력이 원활치 않은 분위기라, 관련 업계의 기대감은 낮아 보인다. 부산에서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인 한 관계자는 "협회 내부에서 이탈자가 생기다 보니 정보 공유도 원활치 않다. 창립 총회 당시 모였던 기업들 이후 별다른 소식이 없다"며 "디지털자산 거래소라고 하더라도 할 수 없는 것들이 뚜렷해 보이고 블록체인 특구 사업과의 시너지도 내기 어려워 복합적으로 협조가 잘 이뤄지지 않아 보인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도 "업계 내에서는 실행 가능성에 대해 의문이 크고 더군다나 블록체인 기업들이 서울에 몰려 있는데 부산에서 추진되는 사항이라 매력도가 떨어진다.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