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의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 수리가 보류됐다. [사진: 빗썸]](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1/424480_413435_459.png)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빗썸이 존폐 위기에 놓였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는 11일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심사위원회를 열고 빗썸과 코인원에 대한 심사를 진행했으나 코인원의 사업자 신고만 수리했다. 빗썸의 신고 수리는 보류했다.
이에 원화마켓을 운영하고 있는 가상자산 거래소 가운데 수리가 안된 곳은 빗썸만 남게 됐다. 지난 9월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업계에서 첫번째로 신고 수리 돼 '1호 가상자산 사업자'가 됐고, 이어 지난달 코빗이 신고서 제출 후 보름도 안돼 수리가 됐다. 이어 전날 코인원이 신고서 제출하고 약 두 달이 지나 공식 가상자산 사업자가 됐다.
업계에서는 빗썸의 복잡한 지배구조와 불투명한 경영권 문제가 신고 수리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실소유자로 알려진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은 현재 BXA 코인 상장 관련 사기 혐의로 검찰에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이 전 의장은 지난 2018년 김병건 BK그룹 회장에게 빗썸 인수를 제안하며 약 1120억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8일 열린 1차 공판에서 이 전 의장 측 변호인은 이를 전면 부인한 바 있다.
다른 업체 보다 추가 검토 사항이 많을 것이란 추측도 나온다. 빗썸은 200개에 육박한 가상자산 거래를 지원하는데, 이는 업비트가 원화마켓에서 지원하는 코인 개수보다 약 2배 수준이다. 당국은 거래소가 취급하는 가상자산 수가 많을수록 거래소 위험도가 높다고 보기에, 이를 둘러싼 상장 배경과 거래량 등을 들여다볼 수밖에 없다.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서 제출 시 거래소가 부수적으로 운영하는 서비스를 모두 기재해야 하는데, 빗썸은 오토 트레이딩, 스테이킹, 제휴사 기타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상장, 서비스 등 당국이 들여다봐야 하는 부분이 타 거래소에 비해 많아 심사가 지연되고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이로써 빗썸은 사업 불확실성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면서 트래블룰 대비, 신사업 준비에도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 공식 가상자산 사업자 되면 고객확인제도(KYC)를 시행해야 한다. 업계에 따르면 이를 기반으로 트래블룰 고객정보 연동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범 운영을 하게 되는데, 신고 수리가 늦어지면 이같은 일정이 미뤄지는 것이다.
또 빗썸은 최근 대체불가토큰(NFT) 관련 신설법인을 세우고 NFT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당장 거래소 존폐 위기에 놓이면서 이는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됐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다음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심사위원회'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심사는 신고 접수 후 최대 3개월간 진행되기에, 빗썸은 내달 초까지는 사업자 신고 수리가 나와야 한다. 다만 자료 제출 기간은 신고 심사 기간에서 제외된다.
빗썸 측은 "금융위에서 불수리한 것이 아니라, 보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추가적인 자료 제출 등 소명을 통해 빨리 수리가 돼 고객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비덴트, 빗썸·초록뱀미디어에 전략적 투자...NFT 사업 본격화
- 추가 가상자산 사업자 언제 나올까...심사위원회 한달째 깜깜무소식
- 업비트·코빗, 공식 가상자산 사업자 첫 행보로 NFT 시장 정조준
- 국세청 가상자산 과세 준비 분주...원화·코인 거래소 잇따라 컨설팅
- 코빗, 가상자산 사업자 혹독한 신고식...긴 서버 점검에 투자자 분통
- 빗썸, 24시 온오프라인 통합고객센터 오픈
- 코빗, 2호 가상자산 사업자 됐다
- 빗썸·코인원·코빗 합작 CODE, 포스텍과 트래블룰 개발
- [블록체인핫이슈] 메타버스·NFT·게임...가상자산 新 트렌드 부상
- 빗썸, 3분기 누적 당기순익 7684억원...전년比 818%↑
- 빗썸, 투자자보호·내부통제위원회 신설..."투명성 제고"
- 코인원, 전직군 100명 채용..."전문성 강화한다"
- 빗썸·코인원·코빗 '트래블룰' 내년 1월 본격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