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ETF [사진: 셔터스톡]
비트코인 ETF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추현우 기자] 비트코인 거래가격이 6만달러를 넘어감에 따라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이 빠르게 달아오르고 있다. 

비트코인은 올해 4월 6만4000달러대까지 오르며 정점을 기록한 바 있다. 6개월 만에 다시 당시 상승세에 근접하는 시장 분위기가 형성된 것. 지난 2017년 말과 올해 초에 이어 3차 암호화폐 호황기가 다가왔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비트코인 급등은 15일 알려진 비트코인 선물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전망 소식이 물꼬를 텄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프로쉐어와 인베스코가 공동 신청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다음주 승인할 것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블룸버그 등 다수 매체에서 나왔다.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은 곧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손쉬운 비트코인 간접 투자가 가능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가상자산 투자 주류화는 물론 관련 시장의 확대로 이어질 호재로 평가된다. 

지난 2020년 공식 출범한 중국의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 Blockchain Service Network)가 지난 9월 홍콩과 마카오 포털 출시 후 터키와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한다. 포털 확대 개설을 계기로 유럽과 북미 지역 BSN 포털 구축도 논의하고 있다. 오는 11월에는 한국에 국제 BSN 포털을 구축할 계획도 밝혔다.

영국에선 CBDC 기술 혁신 및 규제 전문가 그룹인 '디지털 파운드 재단'(DPF)이 독립 비영리 단체로 출범했다. 단순한 CBDC 연구개발과 기술 구현뿐만 아니라, 각종 규제와 관련 법적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중국 진출 31주년 기념 NFT 세트 [사진: 맥도날드 차이나]
중국 진출 31주년 기념 NFT 세트 [사진: 맥도날드 차이나]

맥도날드가 중국에서 대체불가토큰(NFT) 기념 세트를 선보였다. 맥도날드가 공식적으로 NFT 상품을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에선 전국 버거킹 매장에서 암호화폐 페이코인(PCI)으로 결제가 가능해진다. 다날핀테크는 버거킹과 본격 제휴를 맺고 오는 18일부터 전국 버거킹 매장에서 페이코인 결제 서비스를 시작한다.

미국 최대 암호화페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대체불가토큰(NFT) 시장에 뛰어든다. 코인베이스는 사용자들이 NFT를 만들고, 수집하고 거래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인 코인베이스 NFT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유명 PC 게임 스토어인 스팀에서 블록체인을 기술을 쓰거나 대체불가토큰(NFT) 및 암호화페를 거래할 수 있는 게임들을 제공하는 것이 금지됐다. 스팀이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번 결정을 내렸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스팀은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도입한 적이 있으나, 2년도 안돼 변동성이 지나치게 크다는 이유로 결제 수단에서 제외한 바 있다.

비트퓨리의 암호화폐 채굴 장비 'BlockBox AC' [사진: 비트퓨리]
비트퓨리의 암호화폐 채굴 장비 'BlockBox AC' [사진: 비트퓨리]

중국이 암호화폐 채굴 산업을 강력히 규제하면서 미국이 채굴 분야 1위 국가로 올라섰다. 캠브리지 대안 금융 센터의 비트코인 ​​전력 소비 지수(CBECI)에 따르면, 올해 8월을 기준으로 미국의 비트코인(BTC) 채굴 해시율 분포는 35.4%로 전년 대비 4배 이상 늘어, 세계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카자흐스탄(18%)와 러시아(11%)가 이었다. 

중국은 올해 1월까지만 해도 채굴 해시율 50%가 넘는 비트코인 채굴 1위 국가였지만, 규제당국의 강력한 단속으로 지난 7월부터 채굴 해시율 0%를 기록하면서 사실상 암호화폐 채굴 금지 국가로 돌아섰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지지자 중 한명인 잭도시가 이끄는 모바일 결제 플랫폼 업체 스퀘어가 비트코인 지갑에 이어 비트코인 채굴 시스템 개발도 추진한다. 

미국 금융사들이 규제당국의 인가를 받고 커스터디(수탁)부터 매매 서비스까지 가상자산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반면 국내 금융사들은 제도 미비로 가상자산 시장에 간접 진출만 가능하다. 

현재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가 약 600만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국내 가상자산 제도화 추진이 선진국에 비해 지지부진하다는 의견이 있다. 국내도 은행 등 금융사가 가상자산 사업을 본격화할 수 있도록 단계적 제도화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다. 관련해 기존 증권시장의 규제 틀 속에서 가상자산 규제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눈길을 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