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7년부터 한국인 표준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 및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를 통해 치매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단계에서 조기 진단 방법이 확립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치매예측 뇌지도 구축 및 치매 조기진단 방법 확립 사업'의 신규 과제를 선정하고, 2017년부터는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를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 6월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 확정된 '제2차 뇌 연구촉진 2단계 기본 계획'의 후속 조치 결과다.

이번에 선정된 서울대 이동영 박사 팀은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와 양전자단층촬영(PET) 등 뇌영상장비를 활용해 한국 노인(60~80대)의 표준 치매 예측 뇌지도를 구축하고, 체액(혈액 및 유전) 등 생물학적 지표와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 예측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그 동안 치매치료보호, 가족 지원과 치매 원인 규명, 치매 치료제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춰 지원했으나, 치매의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조기진단 방법을 확립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위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정상인도 알츠하이머성 치매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예측 진단 표준 프로토콜이 정립되며, 치매 조기 진단 예측 기술을 기반으로 치매 진행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나 의료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진단과 예측이 어려워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할 수 있어 사회적인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뇌 연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뇌 연구는 인류가 정복해야 할 과학기술의 마지막 영역이며, 이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을 토대로 핵심 원천 기술을 선점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