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김문기 기자] 정부가 와이브로뿐만 아니라 LTE TDD에도 문호를 개방했다. 글로벌 시장에 견줘보면 시대 흐름에 뒤쳐지지 않을 기회를 얻은 것이고, 국내 사정을 돌아봤을 때는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앞서는 결정이다.

 
와이브로(Wibro)는 지난 2002년 10월 2.3GHz 대역 휴대인터넷용으로 이용 정책추진방안이 확정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2005년 1월 SK텔레콤과 KT가 와이브로 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와이브로 상용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개발, 2006년 6월 상용서비스가 개시됐다. 또한 2007년 10월에는 ITU에서 6번째로 IMT-2000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명실공히 전 세계에서 차세대 4G 기술로 각광받게 됐다.

다만, 안타깝게도 와이브로는 상용서비스 후 7년이 지났음에도 103만 명 수준의 가입자를 유치했을 뿐 큰 영향력을 끼치지 못했다. LTE 가입자가 2년만에 2000만 명 고지를 넘은데 비해 초라한 성적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와이브로 사업을 도입했던 글로벌 이통사들도 TDD LTE로 교체 또는 병행 제공하고 있다. 미국 클리어와이어는 와이맥스와 LTE TDD의 병행 제공을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며, 일본 UQ도 2.5GHz 주파수를 추가 할당받아 올 하반기 병행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러시아 요타와 말레이시아 P1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와이브로가 비록 몰락의 길을 걷고 있지만 중요한 건 이후의 발전 방향이다. 와이브로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얻었던 자신감과 기술력 등을 계승하기 위해서는 자책보다는 적극적인 정책 수립과 수행 능력이 토대가 돼야 한다. 보다 멀리 뛰기 위한 잠깐의 움츠림이다.

하지만 정부가 이와는 달리 또 다시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국내 와이브로 서비스의 부진 요인을 사업자의 투자 지연과 단말기 수급 한계, 무선 콘텐츠 초기시장 미성숙 등 대부분 시장 상황 탓으로 돌리고, 정책 방향에 대한 반성은 없다.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기술적으로는 탁월했으나 정부 정책의 실패를 주요 요인으로 지적했다. 소극적인 사업자 선택이나 때늦은 음성 서비스 허용 등 기술에 정책이 따라가지 못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향후 와이브로 관련 정책도 수동적이기는 마찬가지다. 정부는 현재 제공 중인 와이브로 서비스를 유지하고, 기 할당한 주파수에서 기술방식 변경을 통해 LTE TDD 전환이 불가하다고 밝혔다.

대신 이용자 보호대책 마련을 전제 한다면 주파수 회수 및 활용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즉 SK텔레콤과 KT가 이용자 보호대책을 마련하고 정부에 요청하면 그 때부터 LTE-TDD 사업에 대한 검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그 사이에도 와이브로는 계속해서 정체된 채로 어떤 발전 방향 없이 남아있게 되는 셈이다.

지난 8월 주파수 경매로 남은 2.5GHz 주파수 대역 40MHz은 신규 사업자가 와이브로와 LTE TDD 중 선택할 수 있도록 개방했지만 이 마저도 제4이통사가 허가 받지 못한다면 다시 유휴대역으로 남아있게 된다. 결국 LTE TDD로의 문호는 개방했을지 모르나 실제 서비스 상용화 시기는 불투명하다.

물론 정부는 와이브로가 특수목적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틈새시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지만, 이 조차도 필요시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일 시분할 통신산업 종합 발전 계획을 수립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와이브로의 실패를 거울삼아 사업자와 제조업체, 중소중견기업들과 보다 적극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와이브로와 LTE TDD의 활용방안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이용자들이 보다 빠르게 더 나은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주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