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투데이 한경주 기자] 온라인게임이 정부와 정치권의 각종 규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금, 모바일게임 업계도 '규제'라는 불똥이 언제 튈지몰라 불안해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모바일게임을 대상으로한 규제는 없다. 셧다운제의 경우 게임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가 게임에 대한 중독성 여부를 2년마다 평가해 시행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처럼 모바일게임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규제안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바일게임 업계가 이렇게 긴장하는 이유는 일부 시민단체와 정치권에서 모바일게임에 대한 규제를 원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월에는 모바일게임에 대한 셧다운제를 2015년까지 유예하는 법안을 제출했던 전병헌 의원이 시민단체의 반발에 법안의 국회 상정을 보류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지난 5월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한국청소년연맹 등 20여개 시민단체들은 ‘셧 다운제 모바일 적용 전국민 서명운동’을 펼치는 한편 ‘셧 다운제’ 위헌소송이 진행 중인 헌법재판소에 스마트폰 게임중독 피해 사례와 스마트폰 게임 셧다운제 도입을 희망하는 국민 서명 등을 모아 탄원서를 제출할 움직임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모바일게임 업계가 정부의 규제안 발표 이후 그에 대한 후속대책을 내놓기 보다는  스스로 청소년 게임 중독 예방 등 자정 노력을 선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나아가 학부모 단체와 청소년 단체를 지속적으로 접촉해 시민단체들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게임업계가 이미 청소년의 게임 중독을 막기 위한 기금 조성, 게임중독치료센터 운영 등 청소년 게임 과몰입을 위해 충분한 노력을 펼치고 있는 만큼 정부의 규제를 막기 위해 자신들의 무덤을 스스로 파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게임 업계의 이러한 활동이 정부나 일부 사회단체들은 물론 게임을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일반 대중들에게는 생색내는 활동 정도로 비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학부모 단체에서는 게임 업계가 매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사전적 조치보다는 생색내기에 불과한 후속대책에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돌 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속담이 있다.

올해 모바일게임 시장 2조원 육박 등 모바일게임 시장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는 지금이야 말로 모바일게임 업계가 한 번쯤 새겨볼만한 대목이다.

최근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는 문광부 유진룡 장관과의 면담에서 “그동안 게임 업계가 지나치게 수익에만 치중해 게임에 대한 부작용을 간과한게 사실이다”라며 자기반성의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정부의 규제 확산 움직임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도 모바일게임 업계 스스로 청소년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실질적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