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
금융당국이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의 금융 포용성과 자원 배분 효율성 등을 활용하되 예상 가능한 독과점·시스템 위험 문제에 대해선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미지: 한국금융연구원]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금융당국이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의 금융 포용성과 자원 배분 효율성 등을 활용하되 예상 가능한 독과점·시스템 위험 문제에 대해선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빅테크의 자금중개 서비스 확대, 의미와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빅테크는 국내외에서 대출 등 자금중개 서비스를 늘려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아마존이 소기업 대출을 위해 뱅크오브아메리카와 협력 관계를 맺었고, 중국에서는 앤트 파이낸셜, 위뱅크 등이 여러 중소기업에 대출해주고 있다. 국내의 경우 카카오가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를 설립했고 네이버도 최근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이 우리은행과 협약을 맺고 소상공인 대출서비스를 내놓았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 빅테크사는 은행보다 정확한 신용평가를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평가 받고 있다. 자체 플랫폼에서 얻는 고객들의 SNS 활동과 기업 이커머스 활동 등으로부터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해 이 빅데이터를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법으로 분석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위원은 "빅테크사는 주로 사람의판단에 의존하는 전통 은행보다 신용평가에서 더 유리한 측면이 있다"며 "기존 은행들이 빅테크의 신용평가 영역 만큼의 경쟁력을 가지기 어려운 만큼 은행권은 향후 신용평가에서 빅테크와 협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이 연구위원은 "빅테크는 네트워크 효과와 규모의 경제 등으로 독과점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렇게 되면 시스템 위험 또한 증가하므로 금융당국이 미리 이에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