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5G 플러스 융합생태계를 조성하고자 24일 5G 플러스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 발족회의(온·오프라인 병행)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협의체는 올해를 5G 플러스 융합생태계 조성의 원년으로 선언한 ‘2021년도 5G 플러스 추진계획’에 따라 5G 플러스 산업생태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구성됐다.
5G 플러스 관련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협의체는 이날 발족한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 외에도 다섯 개의 5G 핵심서비스(스마트공장, 실감콘텐츠, 디지털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및 5G 망을 포함해 총 7개로 운영된다.
정책협의체는 5G 플러스 산업생태계 조기 조성을 위해 공급 기업계는 물론 수요 기업계도 참여하며 학계, 연구계, 전문기관, 5G+ 전담기관(정보통신기획평가원), 관계부처 등과 함께 5G 플러스 생태계 관련 당면 현안을 적극 해결해 나갈 전망이다.
또한 5G 플러스 생태계 구성 요소(장비, 디바이스, SW, 서비스, 보안 등)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포괄적 생태계 형성(대·중·소 기업 협력, 국내 기업 - 글로벌 기업 협력 등)을 위해 중·장기 정책 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발족회의에서는 정책협의체의 구성·운영 방안과 추진목표에 대해 논의했고, 구성원들이 의기투합해 5G 플러스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가 집중적으로 검토할 단기적과제 및 중·장기적과제를 선정했다.
디지털 핵심기술 관련 국제공동연구, 글로벌 사실표준화 대응, 글로벌 시험·인증 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과 5G 관련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했고, 5G 엣지컴퓨팅(MEC) 기반 실증사업의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선도서비스 확산을 위한 아이디어도 광범위하게 제안됐다.
또 자유토론을 통해 R&D, 제도개선 등 산업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필요한 애로사항 해결 방안과 B2B 단말기, 5G 보안 등 관련 실증사업의 본 사업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5G 플러스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는 관계부처, 전문기관, 민간 영역이 경계 없이 협력하는 뜻깊은 시도”라며 “이를 계기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5G 융합생태계를 조기에 형성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올해 190개사 기업연구소 선정…과제당 5000만원 지원
- 과기정통부, 마이데이터 8개 서비스 선정…최대 10억 지원
- 과기정통부, 통신요금 경쟁상황 평가 포함해 발표한다
- 과기정통부, 28㎓ 5G 구축 활성화 전담반 발족
- 과기정통부, 디지털 콘텐츠 해외 진출 지원…참여기업 모집
- [단독] 5G 3.5㎓ 로밍 방안 다음달 나온다...이통3사 도단위 구축
- IoT 전자파 안전관리·모바일 전자고지 등 OECD 혁신사례 선정
- 서울시 시범운행지구 자율주행 유상 운송 '잰걸음'
- 정부,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수립...2050 탄소중립 실현
- 이통사엔 없는 4만원대 30GB 5G 요금제 알뜰폰서 나온다
- 정부 "2021년 망도매대가, 전년 대비 10% 이상 인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