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 일명 분산ID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마련한다.
25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KISA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분산ID 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를 다음달부터 올해 12월까지 진행한다고 공고했다.
KISA는 제안요청서에서 모바일 신분증, 사원증 등 분산ID(DID) 서비스 등장 및 디지털 전환(DT), 비대면 시대 도래 등 환경변화에 따라 중장기 생태계 활성화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DID는 기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분산화된 시스템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통제권을 갖도록 하는 기술이다.
KISA는 지난해부터 DID 사업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8월 KISA는 DID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사원증 도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선제적으로 DID 기술을 도입해 가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겠다는 의도였다.
KISA는 또 지난해 7월부터 DID 기술 및 표준화 포럼을 운영했다. 이 포럼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ICT 표준화 포럼’ 사업의 일환으로 산·학·연구계의 전문가들이 모여 정책·기술·응용 분과별 DID 기술 및 표준 연구를 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포럼에서는 DID 대내·외 환경 분석, DID 집중육성 방안 관련 정책 제안, DID 용어정의, DID 플랫폼 간 기술적 상호연동에 대한 포럼 표준 제정이 추진됐다.
이어 이번에 DID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나선 것이다. KISA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국가별 분산ID 정책 및 서비스 추진현황과 모바일 신분증, 백신여권 등 DID 킬러서비스 사례를 조사한다. 또 DID 개념정의 및 서비스별 예시 등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해설 자료도 마련할 방침이다.
KISA는 DID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능한 신분증 및 증명서 등 DID 도입 방안을 마련한다. 또 기존의 블록체인 지원사업 서비스간 상호연동 및 지속 가능한 서비스도 발굴할 예정이다.
또 KISA는 글로벌 주요 국가와 DID 서비스 연계 가능성(기술적·정책적·경제적)을 검토하고 DID 관련 법‧제도‧정책 비교를 통한 단계별 발전 전략과 국제 표준대응 방안 마련 등도 마련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