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오라클이 2020년을 기점으로 자산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전반적으로 변화했으며, 이제 다수 사람들이 재무 관리에 있어 인간보다 AI를 더 신뢰한다는 내용을 담은 금융 분야 AI 활용에 대한 연구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오라클이 전 세계 14개국 9000명 이상 소비자와 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기반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은 전 세계 사람들의 재정과 관련한 불안, 우울감 및 두려움을 증가시켰으며, 자산 관리를 일임하는 신뢰에 대한 주체도 변화시키고 이는 기업 재무 부서와 개인 자산 상담사 역할에 대한 업무 영역이 재정립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업 경영진 사이에서 코로나19 상황으로 재정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는 186%, 우울감은 116% 증가했다. 소비자 또한 재정적 불안과 스트레스를 2배 더, 슬픈 감정 또한 70% 더 느낀다고 응답했다. 또 기업 경영진 90%는 코로나19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고민 사항으로 경제 회복 속도 저하 또는 경기 침체(51%), 예산 삭감(38%), 파산(27%) 등을 꼽았다.
소비자 87%는 실직(39%), 저축 손실(38%), 빚 연체(26%) 등의 이유로 재정적 두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불안감은 종종 수면 장애로도 이어지며, 41% 소비자가 개인 재정에 대한 걱정으로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재정적 불확실성은 재무 관리 영역에서 사람들이 신뢰하는 대상에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복잡한 재정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소비자와 기업 경영진은 사람보다 AI를 포함한 기술을 더욱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3%의 기업 경영진은 스스로의 판단보다 AI를 더욱 신뢰하며, 77%의 기업 경영진은 자체 재무팀보다 AI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진 89%는 AI가 사기탐지(34 %), 송장작성(25 %), 손익분석 수행 (23%)을 통해 재무 업무에 기여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53% 소비자는 자산 관리에 있어 스스로 판단보다 AI를 신뢰하며, 63%는 개인 자산 상담사보다 AI가 믿을 만 하다고 답변했다.
소비자 66%는 또 AI가 사기 탐지(33%), 지출 관리(22%), 주식 투자 (15%)를 지원함으로써 자산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 경영진 56%는 AI가 향후 5년 내에 기업 재무 전문가를 대체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85% 기업 경영진은 재무 관련 승인(43%), 예산 수립 및 예측(39%), 보고(38 %), 컴플라이언스 및 위험 관리(38%)를 포함한 재무 업무에서 AI 지원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반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40%), 할인협상(37%) 및 거래승인(31%) 등의 업무는 기업 재무 전문가가 집중적으로 담당하기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소비자 42%는 AI가 향후 5년 이내 개인 자산 상담사를 대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76% 소비자가 자유 시간 확보(33%), 불필요한 지출 관리(31%), 정시 납입(25%)과 같은 자산 관리 영역에서 AI의 도움을 희망했다. 반면, 개인 자산 상담사로부터는 주택 매매(45%), 자동차 구입(41%), 휴가 계획 (38%)과 같은 주요 의사 결정에 대해 지원받기를 원했다.
오라클은 코로나19 상황은 재무 관리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를 기점으로 AI를 포함한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 조직 내 재무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필요성 역시 대두됐다고 보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업 대응 측면에서 69% 기업 경영진은 디지털 결제 기능에 대한 투자를 진행했고 64% 기업 경영진은 코로나19에 대응해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고객 참여를 이끌어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51% 기업은 이미 AI를 활용해 재무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있다. 소비자 중 27%가 AI를 활용하는 것 대비 높은 수치다.
또 기업 경영진 87%는 재무 업무 프로세스를 재편하지 않는 조직은 경쟁에서 뒤쳐지며(44%), 직원 스트레스 증가(36%)와 부정확한 보고(36%), 직원 생산성 저하(35%) 등의 경영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르겐 린드너(Juergen Lindner) 오라클 클라우드 비즈니스 사업부 수석 부사장은 “지난 수 년에 걸쳐 가정과 기업조직의 재무관리는 디지털화 되고 있는 추세이며, 지난 해 발생한 팬데믹 사태는 이를 한층 가속화했다. 특히, 디지털 혁신이 금융의 뉴노멀로 자리잡으면서 AI와 챗봇을 포함한 기술의 활용 역시 점점 중요해질 것이다”라며 “경쟁사에 뒤처지거나, 직원 생산성 및 복지가 저해되는 경영 위기에 당면하지 않도록 기업 조직은 디지털 혁신 흐름에 빠르게 올라타고, AI 활용 역량을 갖춘 금융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전념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가상자산 시장 테슬라 효과 '출렁'…다음 타자는 누구?
- 오라클-마스터카드, 클라우드 기반 경제 지원 프로세스 간소화 솔루션 출시
- 오라클 클라우드 승부수..."DB 앞세워 AWS와 일대일 판 짠다"
- "중견중소기업 시장서 오라클 클라우드 도입 활발"
- 대형 엔터프라이즈로 큰 오라클·SAP, 스타트업에도 ERP 판다
- 노코드 앱개발 엔터프라이즈도 강타..."코딩은 예외 경우만"
- 오라클 컨버지드 DB 21c 출시...블록체인·오토ML·로우코드 개발 지원
- 포스트 코로나 원년, 2021 테크판 흔들 10개의 질문
- IT솔루션 유통 시장도 클라우드 바람 거세다...업계 변신 가속
- 오라클, 엣지 클라우드로 확장...'로빙 엣지' 공개
- 데이터센터를 넘어서...오라클, 로빙 엣지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확장
- AI 스타트업 아카, 차세대 인공지능 알파 엔진 Muse V2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