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블록체인 게임 개발 프로젝트인 아이템버스(itemVerse)와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BaaS) 루니버스 제공 업체인 람다256은 대체불가토큰(NFT) 기술 표준화를 위해  ‘K-NFT(가칭)’를 공동으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기존 NFT를 개선해 메타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저작권 관리, NFT 분할 기능 등 업계와 시장 수요를 반영한 표준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NFT 거래에 따르는 수수료 개념인 가스비도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대규모 트래픽에도 대응 가능한 확장성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공동 개발하는 K-NFT에 대해 게임을 넘어 스마트 티켓(공연, 각종 행사 등), 각종 한정판(스포츠 카드, 유명 스타 굿즈, 명품 카드, 디지털아트, 캐릭터 카드, 미술품, 피규어 등) 상품 시장 그리고 국내 메타버스 제작 업체 등과 협력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양사에 따르면 일본에선 현지 게임 업체들이 함께 일본판 NFT 표준인 옥트 패스(Oct-Pass, Open Contents Token)를 발표했다. 이외에도 전세계 여러 회사들이 NFT 기술을 사용해 스포츠카드, 디지털아트, 미술품, 저작권, 게임 아이템 등의 자산들을 토큰화하는 시도를 진행 중이다.

그동안 NFT는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개발돼왔지만 이더리움 사용에 따른 수수료 증가와 느린 속도로 인해 이더리움 밖에서 다양한 NFT 표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아이템버스는 람다256 루니버스에서 제공하는 브릿지 기능을 이용해 이더리움을 비롯한 멀티체인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더리움 기반 NFT 규격을 사용하는 업체들도 별도 번거로운 작업 없이 아이템버스가 선보일 K-NFT 표준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