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롱M 운영사 KST모빌리티가 차고지 밖에서도 택시 근무 교대가 가능한 '도심 거점형 스마트 교대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사진: KST모빌리티]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마카롱M 운영사 KST모빌리티가 차고지 밖에서도 택시 근무 교대가 가능한 '도심 거점형 스마트 교대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현행 여객자동차법상 택시 근무 교대는 차고지에서만 할 수 있다. 하지만 차고지는 소음, 배기가스 배출 등으로 인해 대체로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다.

이로 인해 출퇴근이 불편해 기사 수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근무 교대를 위해 빈 차로 외곽 차고지까지 이동할 때마다 승차 거부로 오해받는 등 서비스 애로와 경영난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는 설명이다.

KST모빌리티는 지난해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차고지 밖 안심교대 사업'을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과제로 지정 받은 바 있다. 이를 위해 KST모빌리티는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도심 주차장, 주유소 등과 제휴해 도심 거점 교대지를 확보했다.

KST모빌리티는 친환경 전기차로 이뤄진 마카롱 그린 택시에 서비스를 우선 적용하기로 했다. 스마트 출퇴근 인증 솔루션을 활용해 원격으로 출퇴근 승인을 지원해 기사 출퇴근 편의 향상, 실차율 제고 등 수익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택시 기사는 집과 가까운 도심 거점 교대지를 주요 근무지로 지정해 '마카롱M 키오스크'에서 지문인증, 영상촬영, 음주측정 등 5단계 안전운행 검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관리자는 통합관제센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출퇴근 승인을 내리면 모바일 키를 활용해 차량을 제어한다.

아울러 실증 택시 내부에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설치해 통합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실내 공기 청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안전 운전과 효율적인 주행 거리 데이터도 분석할 예정이다.

단 도심 거점 교대지에서 근무하는 기사라도 주1회 소속 법인 차고지에 출근해 안전 및 서비스 품질 교육 참여와 기사 간 네트워크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이 서비스는 마카롱 택시 가맹 계약이 체결된 택시 법인이라면 이용 가능한 도심 거점 교대지를 지정해 솔루션 사용 신청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KST모빌리티는 오는 3월까지 서울 지역 마카롱 가맹 택시 4대를 대상으로 중구, 용산구, 성동구 등 3곳에 구축한 마카롱 도심 거점 교대지에서 실증사업을 시작한다. 이는 향후 서울 시내 50여 곳으로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행열 KST모빌리티 대표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모빌리티 플랫폼 운영에 필요한 솔루션을 확보해 택시 운영 환경 개선 등 좋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며 "승객과 기사, 모빌리티 플랫폼이 함께 혁신적인 사업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시도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