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광석 새마을금고중앙회 신용공제 대표가 신임 우리은행장으로 내정됐다. (사진=우리금융)
권광석 우리은행장. [사진: 우리은행]

[디지털투데이 고정훈 기자] 권광석 우리은행장이 디지털 혁신을 2021년 최우선 과제로 정하고, 고객 및 수익기반 확대와 정도영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4일 권 행장은 신년사에서 “누구도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고객님과 은행, 그리고 우리 직원 모두가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면서 “코로나 피해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물론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상생과 나눔을 실천하는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다했다”고 밝혔다.

2021년 우리은행이 나아갈 방향으로는 ‘디지털 우선, 디지털 주도(‘Digital First, Digital Initiative)’를 제시했다. 

권 행장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단순히 ‘기술’적인 개념에 국한되거나, 본부의 특정 디지털 담당 그룹만의 일도 아니다”며 “막강한 고객기반과 기술력으로 무장한 인터넷전문은행이나 빅테크, 플랫폼들의 출현은 은행업의 정의를 새롭게 내려야 할 만큼 우리에게 근본적인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전환은 기존의 상품과 서비스, 프로세스는 물론이고, 은행 모든 업무의 핵심 경쟁력을 디지털화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며 “고객을 중심에 두고 진행되어야만 차별화된 경쟁력과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권 행장은 디지털 혁신과 더불어 채널 혁신도 함께 강조했다. 그는 “지점이 곧 은행이라는 인식이 변하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면채널은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고객 접점이자, 인터넷전문은행이나 빅테크 기업들이 가지지 못한 은행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고객 및 수익기반 확대와 정도영업을 놓쳐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권 행장은 "기업 토탈 마케팅 강화를 통해 해당 대기업뿐 아니라 협력기업과 임직원까지도 우리의 고객으로 모셔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저성장·저금리 환경 극복을 위해 성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CIB나 글로벌 부문의 역량 강화에도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그는 “고객과 수익기반을 확대해 나가는 과정에서 눈앞에 보이는 숫자나 실적에 급급해서는 안된다”며 “2021년은 우리은행의 진정한 가치를 인정받고, 더 큰 미래를 열어가는 성공적인 한 해로 만들어가자”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