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기업부문 취약성 진단과 과제' 심포지엄에 참석한 윤석헌 금감원장. [사진: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012/258655_219903_5720.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2021년 지속가능한 금융혁신을 지원하겠다는 밝혔다. 디지털 금융혁신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위험 요인, 부작용 등을 살펴보겠다는 의미다.
윤석헌 원장은 31일 신년사를 통해 “지속가능 금융혁신을 위한 기반 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며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금융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지만 기술의 발전을 곧 금융의 발전으로 이해하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최종 소비자인 국민의 편익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핀테크, 빅테크의 등장이 금융거래의 편의성을 높이는 측면도 있지만 한편으로 금융의 플랫폼화가 진전되면서 금융회사의 IT기업 종속을 심화시킬 수 있어 금융시장의 공정 경쟁을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의 디지털화에 수반되는 제3자 리스크, 사이버보안 리스크, 디지털 부채 리스크 등 새로운 형태의 리스크도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지털 부채 리스크는 사이버보안 실패, IT 인프라 부족에 따른 자산 가치 하락 및 법적 책임 관련 비용을 뜻한다.
한마디로 2021년에 디지털 혁신금융과 관련된 부작용과 문제 등에 대해 조사, 감독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윤 원장은 “혁신의 주체인 금융회사, 빅테크, 핀테크 업체들이 이러한 리스크를 스스로 관리해 나가는 책임성과 역량을 갖추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혁신은 금융소비자의 편익제고를 최우선으로 하고 이를 전제로 금융공급자가 부수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석헌 원장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비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그는 금융시스템의 복원력 강화가 필요하다며 “금융권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기회복 지연, 금융지원 축소 시 예상되는 절벽효과(cliff effect)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금융회사의 손실흡수 능력 제고를 촉구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자본관리를 강화하도록 하며 내부통제와 리스크관리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지도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금융복합그룹 리스크 상시감시체계를 구축해 금융계열사로의 위험전이와 이에 따른 동반부실화를 막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아울러 단기자금시장 경색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고, 대체투자 리스크 및 외화자금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도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윤 원장은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기후변화리스크(climate change risk)가 금융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국제기구의 경고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소비자보호와 관련해 2021년 3월부터 시행되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원활한 시행 및 조기정착을 지원하고,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의 내실화 및 효과적인 활용방안 모색을 통하여 금융회사의 소비자보호 유인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또 세대 간 디지털정보 격차가 확대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가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며 고령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금융교육을 강화하고 고령층 친화적 금융상품 개발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아듀2020/금융당국·정책] 코로나 블랙홀 속 디지털 전환 빛났다
- 2021 핀테크 감독 방향은?...'책임있는 혁신'에 방점 둔 자율 규제
- 라임 제재심 연기...금융지주 연말배당 영향 받을까
- 코로나 재확산 속 금융당국 vs 금융지주 연말 배당 '눈치싸움'
- 금감원, 라임펀드 판매 증권사 2차 제재심 시작
- [금융위 vs 금감원 갈등史] 역할·독립성 두고 끊이지 않는 신경전
- 2021 금융권 3대 키워드는?...혁신성장·디지털전환·지속가능
- 퇴직연금 이전절차 간소화 확대...1회 방문으로 이전 가능
-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카운트다운 돌입...1분기 금융권 이슈 부상
- 금융규제 혁신 하면 뭐하나...엉뚱한 정보 전달 등 총체적 관리 부실
- 소 귀에 경 읽기?...금감원 지적 사항 무시하는 금융회사들
- 이주열·은성수 갈등에 윤석헌 논란까지...금융당국 수장들 왜 이러나
- 금융위원장·금감원장 5월 동시 교체설 '솔솔'
- 새 금감원장은 누구?...윤석헌 퇴임 3년의 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