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까지 진행된 보이스피싱 예방 방안 아이디어 공모전 홍보 이미지 [사진: 금융위원회]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정부, 금융당국, 지방자치단체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 발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이디어, 논문 공모전 등을 연이어 개최하며 새로운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부산시 등이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아이디어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금감원은 9월 28일부터 10월 30일까지 제1회 대학(원)생 보이스피싱 예방 논문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다. 논문 주제는 보이스피싱 피해 구제를 위한 방안이다. 법 제도 및 범죄 심리, IT기술, 소비자보호 제도 등의 분야로 공모가 진행되고 있다. 금감원은 11월 20일 논문 심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공모전은 금감원 뿐 아니라 보이스피싱 대응 범금융권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라며 “올해만 할 것이었다면 1회라고 붙이지 않았을 것이다. 내년에도 개최할 방침이다. 공모전에서 우수 논문으로 선정된 것은 수상자와 상의해 공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젊은 대학생과 연구자들의 보이스피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새로운 대응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10월 13일부터 30일까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시민제안 공모전을 진행 중이다. 부산시는 올해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보이스피싱이 창궐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전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 제안 공모전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공모전에서 부산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비대면 교육을 위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교육자료와 피해 예방 홍보 아이디어 등도 발굴할 방침이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금융위원회도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대국민 보이스피싱 예방 방안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했다. 행안부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발굴 사업의 일환으로 보이스피싱 대응이 채택된 것이다.

행안부는 11월 중 최우수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향후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지원한다. 또 보이스피싱 대응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이들 기관들이 아이디어 발굴에 나선 것은 보이스피싱 대응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2017년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3만420명에서 2018년 4만8116명으로 늘었다. 또 2019년 4만9597명으로 5만명에 육박했다. 올해 1분기에는 7288명이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했다. 금융권은 2월 코로나19 확산 이후 보이스피싱이 급증했기 때문에 올해 보이스피싱 피해가 지난해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아이디어 발굴이 보여주기식이 돼서는 안되며 실제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에 대응하는 아이디어를 발굴한다면 그것을 실제 적용하는 방안까지 고민해야 한다”며 “단발성 이벤트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