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점포 폐쇄 추이. [자료: 금융감독원]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디지털화 확산세 속에서 은행권의 영업점 폐쇄는 생존 전략이지만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지역을 위해 적정 수의 점포가 유지되도록 은행들이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11일 금융연구원의 정기 간행물 '금융브리프'에서 이대기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의 점포 수요 감소 대응 방안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비대면 거래의 급격한 증가로 유인 점포 이용 수요가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은행의 점포망 축소에 따른 소비자 피해는 크지 않을 것이다"면서도 "그러나 고령층 같은 취약계층과 농어촌 등 금융서비스 과소 제공 우려 지역의 금융 접근성은 심각하게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은행의 점포망 축소와 그에 따른 인력 구조조정은 저성장·저금리 장기화와 시대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은행의 생존전략으로 해석해야 한다"며 "다만 취약계층·지역에서는 포용 금융 차원에서 적정 수의 점포가 유지되도록 은행권이 공동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취약계층 밀집 지역 등에서 점포를 닫을 경우 프로 스포츠팀에서 신인선수를 선발하는 방식인 드래프트 제도처럼 은행권이 점포를 폐쇄할 지역을 순차적으로 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일본이나 독일 등에서는 대형은행을 중심으로 지점·현금자동입출금기(ATM) 공동 운영을 모색하고 있다"며 "일본에서는 은행대리업제도를 도입해 유통업체 등 비금융기관을 은행 대리점으로 활용하고 있다"고도 했다.

금융연구원이 인용한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국내 은행의 점포는 2015년 말 7281곳에서 올해 6월 말 6592곳으로 9.5%(698곳) 감소했다. 이 기간 시중은행이 점포 629곳의 문을 닫아 전체 폐쇄 점포의 91.3%를 차지했다.

지역별로 보면 농어촌 같은 취약지역보다는 수도권이나 광역시 등 대도시권 점포 폐쇄가 전체의 89%에 달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