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디지털 금융 시대로 전환되면서 고령층이 사용할 수 있는 금융 채널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유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 8만4170개였던 자동화기기(ATM)가 2020년 7월말 기준 3만5494개로 약 4만9000대로 줄어들었고, 은행 점포도 5년 간 689개를 폐쇄되는 등 고령층을 위한 금융 서비스가 줄어들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유 의원은 “디지털 금융이 발전할수록 고령자와 같은 소외계층의 명암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며 “디지털 금융 확대도 중요 하지만 소외계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표한 ‘2019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를 보면 일반 국민의 디지털 역량을 100으로 볼 때 60대는 56.9, 70대 이상은 14.6으로 평가된다"며 노인들이 디지털에 취약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제로 60대 이상 인터넷 전문은행 이용률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1.5%에 불과해 ‘금융 양극화’ 현상이 심화됐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금융당국은 고령층 전담 점포, 은행 창구업무 제휴, 고령층 디지털 금융 교육 등 실질적으로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금융당국의 책임 강화를 통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더 이상 고령자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장애인 ATM 늘리면 뭐하나...잦은 고장에 '그림의 떡'
- 한은, 은행권과 ATM 공동 관리한다...대체 수단 논의도 '활발'
- 금융위, 고령층 전용 은행앱 만든다...금융 이용 불편 해소
- 은행들, 지점 줄이고 장소 시간 가리지 않는 '탄력 점포'는 쑥쑥
- 디지털 전환의 역설?...은행 점포 축소에 깊어지는 ‘고민’
- 금융당국 vs 은행권, 점포 폐쇄 두고 갈등 재점화
- 금융연 "디지털 취약계층·지역 위해 은행권 공동대응 나서야"
- 디지털 전환의 그늘?...은행권 연말 감원 한파 본격화
- 대형 금융회사 부실 대응 금융산업구조개선법 개정안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