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 블록체인 기술을 써서 서비스들을 만들었다고 하는 프로젝트들이 쏟아진다. 가상자산(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수그러들면서 최근 공공과 기업 시장은 가상자산은 빼고 블록체인만 인프라로 투입하는 프로젝트들이 늘고 있다.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된 부산시가 진행하는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부터 민간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프로젝트 소식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사, 네이버, 카카오 등이 제공 중이거나 제공할 예정인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된다고 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알게 모르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사례는 꾸준히 늘고 있다.

가상자산이 빠진 프로젝트들에서 블록체인의 효용성은 대부분 위변조 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블록체인을 써서 위변조를 막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했다는 것이 핵심이다. 위변조를 막아주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쏟아지는 발표 자료들만 보다 보면 블록체인이라는 기술 자체가 위변조 방지에 최적화돼 있다는 뉘앙스가 진하게 풍긴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하고 대화하다 보면 현실은 좀 다른 것 같다. 블록체인을 써서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는 시나리오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얘기다. 위변조 방지는 블록체인만 쓴다고 되는게 아니라 블록체인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달렸다는 이유에서다.

블록체인은 어떤 기준에 따라 다수 참여자들이 제각각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이를 공동으로 운영하는 개념이다. 상호 동등한 위치에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참여하는 노드들이 많고, 거버넌스도 투명하다면 블록체인에서 데이터가 위변조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수가 적고, 거버넌스 체계도 수직적이라면 운영 주체들에 의한 위변조는 가능한 시나리오다. 짜고 치는 고스톱이 벌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존재한다면 제 아무리 블록체인이라고 해도 위변조를 봉쇄하기는 역부족이다. 서비스 운영 주체를 믿어냐 하느냐 여부는 블록체인에서도 여전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가상자산이 빠진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보면 블록체인을 쓴다고는 하는데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얘기는 빠진 경우들이 수두룩하다. 물어봐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얘기까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듣기 힘들 때가 많다.

그러다 보니 합의 메커니즘은 어떻게 되는지,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로는 누가 누가 참여하는지, 블록체인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없이 그냥 블록체인을 써서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는 메시지들이 넘쳐나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은 사실은 그게 아닌데도 블록체인만 쓰면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 마치 기정사실처럼 굳어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이라고 해도 노드를 소수가 독점하는 구조라면 위변조 방지용으로서 블록체인이 갖는 잠재력은 훼손될 수밖에 없다. 안써도 되는데 괜히 블록체인을 쓰는 장면이 연출될 수도 있다. 실제로 이런 프로젝트들이 적지 않다는 후문이다. 

결국 블록체인을 활용한 위변조 방지라는 메시지는 블록체인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정보가 가급적 투명하게 공개된 환경에서 보다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지금은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블록체인이 위변조를 막는다는 메시지들이 범람하는 상황이다.

블록체인 기술 업체 아톰릭스랩의 장중혁 이사는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주체들이 거버넌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게 작동한다는 사실을 외부에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용 블록체인도 이 두가지는 필수"라고 지적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키워드

#블록체인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