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IBM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신형 서버용 프로세서인 파워10을 18일 공개했다.
파워10은 7나노미터(nm) 공정 기반 프로세서로 이전 모델인 IBM 파워9 대비 에너지 효율, 워크로드 용량, 컨테이너 밀도가 최대 3배 가까이 향상됐다. 상면과 에너지 효율성을 끌어올리면서 비용은 줄여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사용자들이 보다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IBM은 강조했다.
보안 부문에서는 투명한 메모리 암호화(Transparent Memory Encryption) 기능을 통해 엔드 투 엔드 보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전 모델 대비 4배 많은 수의 AES 암호화 엔진으로 현재 암호화 표준은 물론 양자 내성 암호(Quantum safe cryptography) 및 완전 동형 암호(Fully Homomorphic Cryptography) 등 미래 예상되는 암호화 표준까지 지원 가능하다.
최근 컨테이너 밀도 증가로 발생하는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해 하드웨어 기반 컨테이너 보호 및 격리 기능도 제공한다. 따라서 한 개 컨테이너가 공격을 받더라도, 같은 가상 머신(VM)에 있는 나머지 컨테이너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 가능하다.
메모리 인셉션이라는 신기술을 통해 클러스터에 속한 파워10 기반 시스템들이 각자 메모리에 접근 및 공유가 가능해 멀티페타바이트급 메모리 클러스터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더 적은 수의 서버로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사용자는 IT요구사항을 달성하는데 더 적은 자원을 임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AI 관련 기능도 강화됐다. 파워10 프로세서는 별도 추가적인 전문 하드웨어 없이 인코어 AI 추론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IBM 코그너티브 시스템즈 총괄 임원인 스티븐 레너드는 “'엔터프라이즈급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하드웨어와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강력한 온프레미스 및 오프사이트 아키텍처를 필요로 한다"며 "우리는 IBM 파워10이라는 엔터프라이즈 하이블리드 클라우드를 위한 최상급 프로세서를 설계했고 고객이 IBM에 기대하는 성능과 보안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고정 플랫폼으로 만든다는 우리의 목표와 함께 IBM 파워10은 IT 인프라 레벨에서 향상된 하드웨어 기반 용량 및 컨테이너 보안 기술을 구현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파워10은 2021년 하반기에 정식 출시 예정이다. 생산은 삼성전자가 맡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네이버페이, 서비스 장애 보상... 이용자에 페이 포인트 지급
- 넷마블도 재택 전환...주 3일 출근·2일 재택근무 체제
- 금융위, 연말까지 금융 AI 활성화 가이드라인 만든다
- 개통 앞둔 갤럭시노트20 카메라 품질 논란...흥행 찬물?
- 한국씨티은행, 유명순 수석부행장 행장 직무대행 선임
- 중국, 홍콩 민주화 지지 표명 '노트패드++' 앱 차단
- 방통위, 국내 OTT 활성화 협의체 만든다
- 공공SW 발주 관리 강화...원격지 개발 활성화도 본격 추진
- 금보원, 금융보안자문위원회 개편... AI·빅데이터·클라우드 전문가 위촉
- 대형 금융회사 정상화·정리계획 도입…연내 실행방안 마련
- 디지털 전환 전략적 가치 커졌는데, 실행력은 왜 부족할까?
- 레드햇-LG CNS, CCSP 협력...클라우드 등에 오픈소스 활용
- 기존 사업 떼내고 클라우드에 올인...100년 기업 IBM의 새로운 도전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8.3 출시...관리·클라우드 지원 역량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