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전동 킥보드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사고도 증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보험 상품이 나오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손해보험 업계서도 상품 출시에 대한 공감대는 있으나 전동 킥보드가 새로운 이동수단인 만큼 관련 데이터가 부족해 출시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다. 실제 보험 상품이 출시되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 지적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국토교통부는 교통안전공단, 퍼스널 모빌리티(PM, 개인형 이동수단) 업체, 손해보험협회, 보험사 등이 참석하는 킥오프 회의 성격의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선 전동 킥보드를 포함한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최근 이슈를 공유하고 이용자가 이동수단을 안전하게 타도록 장려하는 캠페인 방안 등이 논의됐다. 정부는 킥보드 대여 사업 의무보험과 관련해서도 업계 관계자들 간 의견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공유 킥보드 업계 일각에선 보험 관련 문제가 공식적으로 논의 테이블에 오른 것을 일단 긍정적으로 본다는 입장이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산하 퍼스널모빌리티서비스협의회(SPMA)에 가입한 업체들은 대부분 보험사와 단체 계약을 맺어 보상을 제공하고 있는데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이 성장하려면 안전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논의가 시작됐다는 것 자체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전동 킥보드 관련 사고 수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 전동킥보드 사고는 2017년 73건, 2018년 57건이었다가 2019년에 117건을 기록했다. 삼성안전교통문화연구소에 따르면 2016년 49건이던 전동 킥보드 교통사고는 2019년 890건으로 3년 만에 18배 이상 늘었다.

하지만 보험 업계에선 실제 상품 출시와 관련해선 신중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사고 위험이 높은 만큼 보험 상품 가격이 높게 산정될 수 있는데 주요 이용자층이 2030세대인 점을 감안하면 수익성이 있을지 확신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전동 킥보드는 새로운 이동 수단인 만큼 논의가 이제 막 시작한 단계인데다 관련 데이터도 충분치 않아 상품 기획에 어려움이 있다는 얘기다.

현행법상 전동 킥보드는 ‘원동기장치자전거’ 카테고리에 분류된다. 오토바이보다는 자전거와 성격이 유사하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자전거의 경우 보험사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월 1~2만원대 보험 상품이 출시됐다. 하지만 이마저도 수익성으로 인해 사라진 경우가 여럿 있다는 후문이다. 

보험 상품이 출시될 경우 공유 킥보드 이용료가 오를지 여부도 현재로선 미지수다. 한 보험 업계 관계자는 “일단 보험 가입 자체를 의무적으로 들어야 한다고 하면 보장 범위 같은 경우에도 대물피해(다른 차량에 입힌 손해)만 할지, 대인피해(다른 사람에 입힌 손해)까지 보장할지 등 기준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더 논의를 해봐야겠지만 책정된 보험료를 공유 킥보드 업체가 자체적으로 감내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이용료가 오르지 않을 수 있는 산정되는 보험료 수준에 따라 업체마다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정부에서도 일단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공유 킥보드 업체와 보험 업계 등 민간 영역에서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고 봤다”며 “국토교통부에선 연내로 퍼스널 모빌리티(PM) 기본법 발의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업계 협조를 권고하며 앞으로도 관계자들이 논의하는 자리를 지속해서 갖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