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 이하 NIA)은 미국과 중국의 AI 및 데이터 공세에 대응하는 유럽연합(EU) 정책을 분석한 `데이터 경제 시대 EU의 대응 보고서’(이하 보고서)를 29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EU 디지털 미래와 데이터 경제 ▲EU 데이터 경제의 떠오르는 이슈 ▲EU 인공지능 백서와 데이터 전략 ▲EU의 비개인데이터 정책동향 ▲데이터 주권과 데이터 국경 등의 이슈를 토대로한 EU 데이터 전략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데이터 활용과 보호 간의 균형, 데이터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 이슈, 클라우드 산업의 외산 의존성에 의한 데이터 주권 문제 등 앞으로 한국이 풀어나가야 할 숙제들에 대한 시사점을 각 주제별로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하고 있다고 NIA는 설명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8년 8월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민간 빅데이터 활용 지원 등 데이터 중심 경제 확산을 지원해왔다.

 EU AI·데이터 주요내용

 

EU 데이터 정책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이 향후 데이터 경제 시대에 한국이 마주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NIA는 기대했다.

NIA 문용식 원장은 "데이터 경제 시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앞으로 2~3년이 절대로 놓칠 수 없는 골든타임이고, 초기 격차를 따라잡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면서 “최근 데이터 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이 발표됨에 따라 이번 보고서가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 추진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데이터 경제 시대 EU의 대응 보고서는 NIA 홈페이지(https://www.nia.or.kr)를 통해 다운로드 및 열람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