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카카오가 성착취 및 아동청소년 성범죄에 대한 금지 조항을 명문화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운영 정책에 타인의 성착취 행위 금지 및 아동·청소년 성보호 관련 조항을 신설했다.
타인의 성을 착취하는 내용을 담은 영상이나 이미지 등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이를 제공 또는 이용하려는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행위, 타인의 성을 착취할 목적으로 협박·유인하거나 이를 모의·조장하는 행위에 대한 금지를 명시했다.

아동과 청소년 대상 성범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강조했다. 행위의 누적 정도와 관계없 강력한 제재를 적용하고 필요하면 수사기관의 사법적 대응과 연계하겠다는 방침이다.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제작·제공·광고·소개, 소지 및 이용, 모의 및 묘사, 그루밍(길들이기) 등이 그 대상이다. 아동·청소년의 성적 대상화와 그 외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를 조장하는 행위를 금지행위로 명시하는 등 포괄적인 제재 규정을 담았다.
적용 대상 서비스는 카카오톡과 포털 다음 등 카카오의 전체 서비스로 오는 7월 2일부터 시행된다. 회사는 카카오의 '알고리즘 윤리헌장'에도 이런 내용을 넣을 계획이다.
이같은 행보는 n번방 방지법 시행을 앞둔 조치다.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전기통신사업법·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시행되면 인터넷 사업자는 디지털 성범죄물 삭제 등 유통 방지 조치를 반드시 해야 하고 성범죄물 유통방지 책임자도 둬야 한다. 유통 방지 조치를 위반하면 사업자가 형사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카카오는 "이전에도 카카오톡에서 음란물 등을 전송할 경우에는 1회만 신고돼도 영구 정지하는 등 강력한 제재를 취했는데 이번에 좀 더 명시적으로 아동·청소년 보호 정책을 수립했다"며 "이용자 신고 기반이라 이런 원칙이 잘 지켜지려면 이용자들의 자발적 신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방심위, 채팅앱 성매매 정보 450건에 시정 조치
- 방통위, 청소년용 사이버안심존 앱에 몸캠피싱 방지 기능 탑재
- 과기부-방통위, 'n번방 방지법' 등 통신 현안 협력 강화
- ‘사업자 과도 규제’ 우려 n번방 방지법, 국회 법사위 통과
- 스타트업·시민단체 "'n번방 방지법' 등 졸속 추진 말라"
- 인터넷 업계, 방통위 ‘n번방 방지법’ 사적 검열 해명에 재반박
- 영림원소프트랩 "연내 코스닥 입성"...해외 사업도 공격 행보 예고
- 파수,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콘텐츠 경쟁 플랫폼 '뜨자' 가동
- NH농협은행-태평양-헥슬란트, 7월 1일 개정 특금법 대응 컨퍼런스 개최
- 네이버 클라우드, 코어사이트와 게임용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개발
- AK 유통 부문, AWS 클라우드로 데이터웨어하우스 이전
- 숏폼 영상 SNS 틱톡, 한국 온라인 광고 시장도 본격 노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