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고정훈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1분기 은행권의 자본 비율이 작년 말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 비율은 은행의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다. 최근 은행들이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을 늘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4.72%로, 전 분기 말보다 0.54%p 하락했다. 기본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율도 각각 0.41%p, 0.40%p 떨어졌다.
위험가중 자산은 총 73조원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 기업대출(32조7000억원), 장외파생상품 관련 위험가중 자산(16조원), 시장 위험 가중자산(6조6000억) 수준이다.
은행별로 총자본비율은 씨티은행(18.44%)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부산은행(16.13%), 신한은행(15.54%), 우리은행(14.77%), 하나은행(15.62%), 국민은행(15.01%). 농협은행(14.80%) 등 대다수 은행들이 BIS 기준 규제 비율(10.5%)을 웃돌았다.
총자본비율은 3개월 전보다 하락했다. 특히 코로나19로 대출을 늘린 산업은행(13.33%)과 수출입은행(13.73%)이 각각 0.73%p, 0.82%p 떨어져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컸다.
은행 지주사의 총 자본비율은 전 분기 말보다 0.14%p 하락한 13.40%로 집계됐다. 지주사의 기본자본비율(11.97%), 보통주자본비율(10.95%)은 각각 0.13%p, 0.15%p 하락했다. 1분기 중 위험가중자산 증가율(3.7%)이 자본 증가율(총자본 기준 2.7%)보다 높아 영향을 끼쳤다.
금감원 관계자는 "1분기에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고자 은행들이 대출에 적극 나서고, 환율 상승으로 장외파생상품 관련 위험가중 자산이 증가한 영향이 있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대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은행과 지주사가 규제 비율 대비 자본 여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