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정부 3차 추경안 관련 과기정통부 주요사항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과기정통부]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정부 3차 추경안 관련 과기정통부 주요사항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뉴딜의 전략 사업으로 '데이터'에 방점을 찍었다. 디지털 뉴딜은 이번 제3차 추가경정예산의 핵심으로 과기정통부가 주요 사업을 맡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 예산의 절반 이상을 데이터에 집중,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을 위한 데이터 등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디지털 포용 전략을 통해 디지털 정보 양극화 해소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3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디지털 뉴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머신 리더블(Machine-Readable)이라는 기계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며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을 하게 되면 가장 중요한 것이 인공지능인데, 인공지능의 기반이 데이터이다. 기계학습이 가능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번 3차 추경예산(디지털 뉴딜 예산) 8925억원 중 데이터 구축·개방에 3819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과학기술 데이터 수집·활용에 배정된 792억원까지 더하면 이번 과기정통부 추경예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장 차관은 “단순히 데이터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을 넘어, 축적된 데이터가 인공지능이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단계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모든 국민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해 혁신선도국가로 가기 위한 기반”이라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능정보산업 인프라 조성을 위해 일자리 창출효과가 크고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AI 학습용 데이터 150종을 확대 구축·개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AI 업계와 학계의 수요를 조사해 720여종의 수요를 받고, 활용가능성과 적합성을 검토해 300종으로 추렸다. 최종적으로 전문가들이 시급성을 따져 150종을 선정했다.

예를 들어, 이번에 선정된 것 중에는 알츠하이머 진단을 위한 MRI 사진 데이터도 있다. MRI 사진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통해 의료 AI가 더 신속한 진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데이터와 함께 디지털 포용에도 중점을 뒀다. 원래 정부는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계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SOC(사회간접자본) 디지털화를 디지털 뉴딜 정책의 주요 키워드로 선정했지만 추후 양극화 해소를 위해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을 추가했다. 

디지털 포용 정책을 위해 과기정통부는 전국 1000곳의 디지털 교육역량센터를 지정할 계획이다. 주민센터 등 생활 SOC를 디지털 교육센터로 운영하며 ▲기차표 예매 ▲모바일금융 ▲디지털 윤리 ▲데이터 리터러시 등 전 국민을 대상으로 디지털 종합역량교육을 추진한다.

장 차관은 “3차 추경이나 디지털 전환을 통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들이 디지털 서비스의 혜택으로부터 배제당하지 않고 누구나 참여를 통해서 충분한 디지털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라며 “취약계층 중에는 디지털에 대한 단순한 접근도 안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번 추경예산은 접근을 넘어 디지털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고 그것을 통해서 기본적인 경제활동이나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획 중”이라고 전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에 대한 접근에서 배제되는 것에 대해 단순한 접근 차원이 아닌 경제생활·일상생활에 대한 큰 위해로 보고, 관련 예산이 확정되는대로 올해 하반기 중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에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