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디지털투데이 신민경 기자] 국민 10명 중 7명 꼴로 자신의 금융지식 수준이 충분하지 않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가운데 8명은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있는지조차 몰랐다.

금융교육을 받아본 수강생 10명 중 3명은 교육 내용이 공짜로 공개되더라도 주변인에게 추천하지 않겠다고 했다. 내용 자체가 어렵고 실생활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위원회는 한국갤럽이 지난해 9∼11월 일반 국민 1002명·교육 수강생 791명·강사 201명·학교 교사 112명 등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30일 공개했다.

일반 국민은 자신의 금융지식 수준을 묻는 말에 68.6%가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공공기관 등의 금융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모른다'는 답변은 85.3%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설문 대상 국민 92.4%가 금융교육 수강 경험이 없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 '교육 관련 정보 부족'을 42.8%로 가장 많이 꼽았다.

교육 수강생 29.2%는 자신이 들은 금융교육 내용이 인터넷에 무료로 공개되더라도 타인에게 추천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금융교육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답변을 한 응답자는 절반 수준(49.6%)이었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 차원에서 민관 협의 법정기구인 금융교육협의회는 29일 금융교육 개선 기본방향을 의결했다.

협의회에는 금융위와 기획재정부 등 6개 정부 부처와 금융 유관기관 15곳, 교육단체 5곳이 참여한다. 협의회 의장은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이 맡는다.

협의회는 기본방향에 따라 교육 내용의 효용성을 높이고자 '금융이해력지도'를 만든다.

금융이해력지도란 건전한 금융 생활에 필요한 태도·지식·기술을 생애 주기별, 금융 상황별로 정리한 도표로서, 이 지도를 바탕으로 신규 교육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또 매년 연간 중점 교육 사항을 정해 교육 내용에 반영하고, 믿을 만한 내용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콘텐츠 인증제'도 도입한다.

금융교육에 유튜브 창작자(크리에이터)를 활용하고, 온라인 콘텐츠몰을 구축하는 등 전달 경로도 다양화한다. 강사 자격 기준도 마련하고, 국가 차원의 강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아울러 금융교육 정책 집행 전담기구인 금융교육센터 설치와 학교 정규 금융교육 강화, 계층별 맞춤 교육을 추진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