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과기정통부
이미지=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국방부가 힘을 합쳐 군용 장비에 맞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세 부처는 대기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범정부적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군용 장비의 성능을 보장하는 범위에서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해 연구개발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환경부는 현재 운행하는 군 표준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군 표준차량을 대체하는 중형 표준차량은 미세먼지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미 운영하고 있는 표준차량은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없고, 수명이 최대 20년이어서 장기간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2019년 4월 국방부와 환경부 간 ‘군부대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시 미세먼지 저감장치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올해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총 27억원 예산을 투자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미세먼지 저감기술(DPF)과 질소산화물 저감기술(SCR)의 복합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군 표준차량 3종에서 배출되는 매연(PM)을 92%이상, 질소산화물(NOx)을 70% 이상 줄일 수 있다. 군사요구도 기준에 적합하고 대기오염 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국방부·환경부·연구기관(한국자동차연구원)이 긴밀하게 협업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특수차량, 중소형 연안 선박, 소규모 소각로 등 비도로 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신기술을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특수차량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전투기 견인차량 등의 군 특수차량을 대상으로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여기에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총 7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군 특수차량이나 건설장비는 저속·단시간 주행 위주로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기존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하면 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서현진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수송대대장은 “미세먼지로 인해 국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에서 수도권에서 군 차량을 운영하는 대대장으로서 차량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심했다”며 “제10전투비행단 수송대대에서 플라즈마 저감장치 연구개발을 위해 시제품 검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효과를 검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송영훈 기계연구원 환경시스템연구본부장은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적용에 앞서 실증연구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며 “군용 장비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앞으로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상용화와 확대 적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